'오겜' 대박 '망사용료' 논란..넷플릭스, 왜 지금 가격 올릴까

이기범 기자 2021. 11. 19.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월 1만4500원→1만7000원..한국 진출 5년 만의 첫 가격 인상
경쟁 심화할수록 콘텐츠 투자 비용이 늘어나..'OTT 경쟁의 역설'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서울=뉴스1) 이기범 기자 = 넷플릭스가 18일 한국 시장 진출 5년10개월 만에 첫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최대 17.2% 수준의 가격 인상으로, 이용자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한국 콘텐츠인 '오징어게임'이 전세계를 사로잡은 공전의 히트를 기록했지만 국내에서 망대가는 내지 않는다는 비판이 높은 시점이라 불만이 더하다.

특히 디즈니플러스(디즈니+), 애플TV플러스(애플TV+)의 한국 진출을 비롯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경쟁이 격화되는 시점에 반대로 구독료를 내려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도 나온다. 경쟁을 통한 요금 인하에 대한 기대다.

그러나 이번 구독료 인상은 경쟁이 심화될 수록 콘텐츠 투자가 늘어나는 'OTT 시장의 역설'로 분석된다. 일각에서는 국내 망 사용료 법제화를 예상하고 사전에 가격을 인상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지만, 해외 시장에서 지속해서 구독료 인상을 진행해 온 전례를 봤을 때 한국 시장만의 특수성을 고려한 것은 아닌 것으로 풀이된다.

◇월 1만4500원→1만7000원…첫 가격 인상

넷플릭스는 18일 한국 서비스 구독료를 인상했다. 스탠다드 요금제는 월 1만2000원에서 1만3500원, 프리미엄은 월 1만4500원에서 1만7000원으로 올랐다. 각각 12.5%, 17.2% 인상된 가격이다. 베이직 요금제는 기존 월 9500원의 가격을 유지한다.

이번 가격 인상으로 넷플릭스 이용료는 경쟁사 대비 최대 1만원 이상 벌어진다. 최근 국내에 진출한 디즈니+와 애플tv+의 가격은 각각 월 9900원(연간 9만9000원), 월 6500원이다. 월 9500원인 넷플릭스 베이직 요금제와 비교하면 크게 차이 나지 않지만, 두 OTT 서비스는 화질과 동시 시청 수에 따라 요금제 등급을 나눈 넷플릭스와 달리 단일 요금제로 구성됐다.

디즈니+는 최대 4명, 애플TV+는 최대 6명 동시 접속이 가능하다. 반면, 넷플릭스는 베이직 요금제는 1명, 스탠다드는 2명의 동시 시청을 지원하며, 프리미엄 요금제를 사용해야 최대 4명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인상된 가격이 적용된 넷플릭스 요금제 (넷플릭스 홈페이지 갈무리) © 뉴스1

◇디즈니 등 경쟁자의 부상으로 증가한 콘텐츠 부담

이처럼 넷플릭스가 가격을 인상하는 배경에는 OTT 경쟁이 잡고 있다. 언뜻 보기에 서비스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구독료를 올리는 게 악재로 비칠 수 있지만, 이용자를 붙잡기 위해선 차별화된 오리지널 콘텐츠가 필요하고 여기엔 막대한 투자 비용이 든다. 특히 2019년 디즈니플러스(+)로 OTT 사업에 뛰어든 디즈니는 넷플릭스의 콘텐츠 투자 부담을 키우고 있다. 디즈니는 자체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넷플릭스에 마블 시리즈 등 자사 콘텐츠 공급을 중단했다.

포브스는 "디즈니, 워너브라더스, 파라마운트, NBC 등이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면서 인기 콘텐츠를 잃어버린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콘텐츠를 만들 수밖에 없게 됐지만, 이 전략은 결코 저렴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콘텐츠 예산은 2013년 24억달러(약 2조7000억원)에서 2021년 190억달러(약 21조3000억원)로 급증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 콘텐츠에 투자한 비용은 7700억원으로, 올해 한 해에만 55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콘텐츠 왕국으로 시작한 디즈니와 1997년 DVD 대여 사업으로 시작한 넷플릭스는 OTT 플랫폼이라는 외형은 같지만, 내부에서 작동하는 사업 모델은 전혀 다르다. 넷플릭스는 콘텐츠 확보에 고비용이 들 수밖에 없고, 다른 수익 모델을 마련하지 못하는 이상 구독료 인상은 예견된 수순인 셈이다. 이는 넷플릭스가 풀어야 할 숙제다.

현재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콘텐츠 기반 굿즈를 판매하는 온라인 매장을 비롯해 게임 사업에 진출하는 등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찾고 있다. 하지만 수익성을 끌어올리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디즈니코리아)가 12일 국내에서 디즈니플러스(+)를 공식 출시하고 서비스를 시작했다. (디즈니코리아 제공) © 뉴스1

◇해외에서는 이미 주기적 요금 조정…2만원 넘긴 미국·일본

넷플릭스도 가격 인상의 배경으로 한국 시장에서는 한 번도 가격 인상이 없었다는 점과 함께 콘텐츠 투자를 통한 서비스 수준 유지를 들고 있다.

넷플릭스 관계자는 "작품 카탈로그(목록)의 양적, 질적 수준을 올리고, '오징어 게임', '지옥'과 같이 뛰어난 한국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작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2016년 한국 서비스 시작 이후 처음으로 스탠다드와 프리미엄 플랜의 구독료를 인상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넷플릭스는 주기적으로 각 국가의 구독료를 조정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10월 스탠다드 요금제와 프리미엄 요금제의 가격을 각각 월 12.99달러(약 1만5300원)에서 13.99달러(약 1만6500원), 월 15.99달러(약 1만8900원)에서 17.99달러(약 2만1200원)로 인상한 바 있다. 올해 2월에는 일본에서 베이직 요금제를 월 880엔(약 9000원)에서 990엔(약 1만원)으로, 스탠다드 요금을 월 1320엔(약 1만3600원)에서 1490엔(약 1만5300원)으로 인상했다.

한국 시장에서는 지속해서 요금 인상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2016년 1월 진출 이후 가격을 올리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넷플릭스는 각 국가의 물가 및 소득 수준 등 여러 지표를 종합해 가격을 책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망 사용료 문제? 넷플릭스 "망 사용료와 구독료는 별개"

일각에서는 국내에서 망 사용료 지불 압력이 커지자 미리 가격을 올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넷플릭스는 SK브로드밴드와 망 사용료를 놓고 소송전을 벌이고 있으며, 국회에서는 망 이용대가와 관련한 개정 법률안을 추진 중이다. 이 때문에 망 사용료를 낼 가능성을 염두하고 해당 비용을 이용자 요금에 반영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딘 가필드(Dean Garfield) 넷플릭스 정책총괄 부사장이 4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미디어 오픈 토크에서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1.11.4/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하지만 한국 외에도 여러 지역에서 요금 인상을 여러 차례 진행해왔다는 점에서 국내 시장만을 염두에 둔 조치는 아닌 것으로 풀이된다. 넷플릭스는 본진인 미국에서만 최근 3년 사이 두 차례 요금 인상을 진행한 바 있다.

딘 가필드 넷플릭스 정책총괄 부사장은 지난 4일 한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망 사용료에 대한) 법적인 결과와 요금을 완전히 별개로 생각한다"며 "한국을 포함해 여러 지역에서 요금 인상 여부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한국에 진출한 지 5년이 됐지만 한 번도 인상은 없었다. 늘 요금 인상을 검토 중인 것은 사실이다"고 밝혔다.

Ktig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