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학습도시 기획 10편] 스무 살 된 평생교육 "전문 인력 확충‧학교교육과 조화 과제"

송성환 기자 2021. 11. 12. 18:5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EBS 저녁뉴스]

정부가 평생학습도시 지정을 시작한 지 올해로 20년째입니다. 

그동안 규모는 커졌지만 내실 있는 교육은 여전히 아쉽다는 진단이 나오는데요. 

학습도시열전 기획보도,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우리나라 평생학습 발전을 위한 과제를 송성환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중학교만 졸업하고 18년간 꽃집을 운영한 임경애 씨.

평생 배움에 대한 갈증을 느끼다 지난해 검정고시를 통해 대학에 들어갔습니다.

임경애 / 한국교통대 복지경영학과

"어디를 가려면 학력이 문제가 되더라고요. (실버인지놀이) 자격증을 가지고 내가 좀 뭔가 해보고 싶은 거예요. 그래서 학력, 많이 배우지 못한 갈증을 좀 채워 나가고자…"

인생 이모작과 재취업의 기회를 주는 평생학습.

지정 첫해 3곳으로 시작한 평생학습도시는 20년이 지난 지금 180개로 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사업이 이뤄지면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지자체장이 바뀔 때마다 사업 자체가 흔들리기도 합니다. 

또 평생학습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 평생교육사는 대부분 계약직으로 채용되고, 이마저도 강제성이 없어 아예 배치되지 않는 기관도 상당수입니다.

이승원 회장 / 인천 송도2동 주민자치회

"일반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거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평생교육이라는 관점에서의 철학을 담아서 기획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거든요"

학교교육과 융합하는 것도 앞으로의 과제입니다.

평생학습 선진국들은 학교와 지역의 벽을 허물어 교육자원을 공유하는 방향으로 평생학습의 범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우리 역시 마을교육공동체 이름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법적인 테두리에 갇혀 뚜렷한 성과는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곽상욱 오산시장 / 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장 

"학교교육도 지역이 함께 협력과 지원을 해야 하는데 마을교육공동체가 학교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습니다. 모든 영역에서 모든 시민이 향유할 수 있는 장을 펼칠 수 있도록 법령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교육취약계층을 위한 평생학습이 필요하단 목소리도 나옵니다.

지난 2018년부터 평생교육바우처 사업이 시작됐지만, 

수혜자는 2만 명 수준에 불과하고 지원금을 받고도 다 쓰지 못한 이용자가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강대중 원장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가정의 소득에 따라서 학습의 참여격차가 상당히 큽니다. 학습비가 많이 늘어나서 저소득층들이 학습비의 부담 없이 평생학습에 참여하실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가장 우선시돼야 할 사업이겠고요"

20년이 지나도록평생학습의 성과와 수요에 대한 국가적인 통계도 마련하지 못한 상황.

스무살 성인이 된 한국의 평생학습이 한걸음 도약하기 위해선 보다 많은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EBS 뉴스 송성환입니다.

Copyright © E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