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세계로 번진 물가불안, 文정부 바싹 긴장해야

2021. 11. 11. 1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물가가 불안하다.

10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는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월 대비 6.2% 올랐다고 발표했다.

국내 물가도 꿈틀댄다.

이달 초 통계청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3.2% 올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금리인상등 긴축 예고
경제운용 틀 재점검하길
미국의 10월 소비자물가가 31년만에 최고치로 치솟은 가운데 조 바이든 대통령은 10일 발표한 긴급성명에서?"물가상승 추세를 뒤집는 것이 최우선 사안"이라고 말했다. 사진은 바이든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의 볼티모어 항만을 방문해 연설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물가가 불안하다. 나라 안팎을 가리지 않는다. 10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는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월 대비 6.2% 올랐다고 발표했다. 1990년 12월 이후 3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농산물과 원자재를 뺀 근원인플레이션도 연율 기준 4.6% 올랐다. 국내 물가도 꿈틀댄다. 이달 초 통계청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3.2% 올랐다. 근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경제동향 간담회에서 "예상보다 높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원인은 복합적이다. 가장 큰 요인으로 코로나 회복 단계에서 나타난 원자재 가격 상승이 꼽힌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긴급 성명에서 "물가상승은 에너지 가격 상승 탓이 크다"고 말했다. 국제유가는 1년 전 배럴당 40달러 선에서 현재 80달러대로 올랐다. 상품의 흐름을 막는 공급병목도 물가를 부추긴다. 코로나 일상회복 이후 주요국에서 보복수요가 나타났지만 시설과 인력 부족 등으로 물류가 원활하지 못하다. 공급이 달리면 물가가 뛸 수밖에 없다.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도 물가 안정을 해치는 요인이다. 유럽은 석탄을 덜 때는 대신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늘렸다. 최대 공급원인 러시아는 이때다 싶어 천연가스 가격을 올렸다. 중국은 호주산 석탄 수입을 중단하는 바람에 홍역을 치르고 있다. 석탄 부족은 전력난으로 이어졌다. '세계의 공장'이 삐걱대자 글로벌 공급사슬에도 구멍이 뚫렸다. 한국의 요소수 부족 사태가 대표적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세계 경제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진통을 겪는 모양새다.

전환기엔 특히 정부가 정신을 바싹 차려야 한다. 무엇보다 미국의 긴축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물가상승 추세를 뒤집는 것이 최우선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미 제롬 파월 의장이 이끄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이달 하순부터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에 착수할 것임을 예고했다. 나아가 금리인상 시기도 앞당겨질 수 있다. 전통적으로 연준은 인플레이션 파이터 역할에 충실하다. 이주열 한은 총재 역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긴축이 본격화하면 경제운용의 틀 자체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공급망 구축 과정에서 한국에 불똥이 튀지 않도록 미리 점검할 필요성도 있다. 요소수 사태는 일찍 맞은 매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수입품 가운데 특정국에 80% 넘게 의존하는 품목이 전체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한다. 그 가운데 거의 절반이 중국산이다. 요소수 사태와 같은 일이 언제 또 벌어질지 모른다. 반도체 사례에서 보듯 미국과 중국은 핵심부품의 공급망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중이다. 요소수, 반도체는 물론 핵심 부품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공급체계 점검이 필요한 때다. 내년 3월 대선을 앞두고 자칫 공직 기강이 흐트러질 수 있는 시기다. 문재인정부가 유종의 미를 거두기 바란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