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르노삼성 부활 신호탄 'XM3' 수출 5만대 돌파 비결은?

부산=정한결 기자 2021. 11. 11. 13: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정한결 기자

"XM3 아니면 안된다는 분위기가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9일 오후 르노삼성자동차의 부산 프레스 공장에서는 강철과 강철이 부딪히며 둔탁한 마찰음을 일으켰다. "쿵, 쿵" 소리와 함께 대형 스탬프는 수천톤의 압력으로 강판을 찍어냈다.

직원들이 묵묵히 그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면서 강판은 문짝 등으로 바뀌었고, 무인기가 화물열차처럼 길게 꼬리를 끌며 스탬핑이 끝난 강판을 차체공장으로 실어날랐다. 정재훈 프레스 공장 팀장은 "품질에 타협 없고 불량은 받지도 주지도 말자는 주의"라고 자신했다.

부산공장 설립 20여년이 지났지만 자동화율이 높다. 용접 100% 자동화를 달성한 차체공장의 경우 사람 직원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대신 로봇팔들이 불똥을 튀기며 강판들을 하나의 차체로 만들었다. 물류공급 자동화율은 95%에 달한다.

조립 라인에 들어서자 하나의 라인에서 여러 차종이 혼류 생산되고 있었다. 작업자가 XM3를 조립하다 바로 다음에 QM6를 조립하는 식이다. 라인 하나에서 4가지 플랫폼의 8개 모델까지 생산이 가능한데 다른 공장 2~3개 라인과 같은 공급 능력이다.
위기의 르노삼성 구하는 XM3
프레스공장. /사진=정한결 기자.
부산공장은 면적만 50만평으로 프레스·차체·도장·조립·부품·엔진·경합금 등 5개의 차체공장과 2개의 파워트레인 공장을 갖췄다. 연간 생산 능력은 30만대(3교대 기준). 1997년에 완공돼 20여년 간 누적 350만대의 차량을 생산했다.

상이한 여러 공장을 아우르는 공통점은 두가지. 가동을 중단한 기계들과 XM3(수출명 아르카나)의 유럽 진출 관련 플래카드다.

프레스·차체공장 등 곳곳서 움직임을 멈춘 기계를 보면서 그간 르노삼성의 부진을 체감할 수 있었다. 르노삼성은 본사인 르노그룹의 생산 배정 규모에 따라 생산량과 수익이 좌우된다. 2017년까지는 부산공장서 생산한 닛산 로그에 힘입어 26만대를 생산했지만 닛산의 위탁 생산 물량이 점점 줄면서 내리막길을 걸었다.

닛산은 2019년 부산공장의 잦은 파업 등을 이유로 배정 물량을 40% 줄였고 급기야 지난해에는 로그 일감이 아예 끊겼다. 르노삼성은 결국 지난해 11년 만에 적자를 기록했고, 올해 글로벌 반도체 공급난까지 겹치면서 5년사이 생산량이 9만8000대로 줄었다. 한 때 7가지 차종을 생산하던 부산공장은 이제 SM6, QM6, XM3 세 차종만 생산한다.

제조공장서 로봇팔이 용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정한결 기자

XM3(수출명 아르카나)는 위기서 등장한 '가뭄 속 단비'다. 지난해 7월 칠레 수출을 시작으로 약 1년 반만에 수출 5만대를 돌파했다. 유럽시장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구가했기 때문이다. 유럽에서는 지난 3월 4개국에서만 사전 출시되는 등 출시 기간이 길지 않았음에도 좋은 반응이 이어졌고, 이에 힘입어 올해 수출 6만대, 내년에는 10만대를 달성할 전망이다.

"부산을 넘어 유럽으로, 유럽을 넘어 세계로" 등의 플래카드가 공장 곳곳마다 붙어있던 이유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자부심의 표현"이라며 "올해 초만 해도 공장 분위기가 부정적이었지만 수출 호조에 떡도 돌리는 등 점점 좋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성공 비결은 우수한 품질과 인력"
무인기가 부품을 운송하는 모습. /사진=정한결 기자
르노삼성은 XM3 수출 호조의 비결로 부산공장의 우수한 품질과 인력을 꼽는다. 르노그룹은 당초 XM3를 배정하면서 닛산 로그와 달리 고정된 생산 물량을 보장하지 못한다고 했다. 물량 확보를 위해 생산·품질 경쟁력 강화를 요구한 셈인데 이를 충족시켰다.

불량차량이 나갈 수 없도록 검사라인만 7개를 운영하며 최소 3번의 검사 절차를 거친다. 작업을 수행하는 인력들도 생산 라인·차종 변경에 능숙하며, 다차종 생산도 가능한 평균 나이 40대 초반, 20여년 경력의 베테랑들이다.

이에 부산공장은 르노그룹 전세계 20개 공장 중 출하 차량에 대한 불량수가 가장 적고, DSTR(표준시간 대비 투입된 작업시간 비율)은 상위 5위권이다. 세계 자동차 공장 생산성 지표인 '하버 리포트'에서 2019년 전세계 126개 공장 중 종합 6위를 기록했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유럽에 있는)본사가 유럽에서 판매할 차종을 높은 원가에도 지구 반대편인 한국서 만드는 이유는 부산공장의 품질 때문"이라며 "우리는 이를 위해 뼈를 깎는 노력을 했다"고 밝혔다.

현장에서 만난 공장 관계자들도 품질에 대한 자부심과 직접 만든 차량에 대한 애착을 드러냈다. 도장공장을 관리하는 김성일 팀장은 차량이 코팅을 마치고 나오자 "아름답다"고 밝혔고, 이호식 조립 1·2팀 팀장은 "최고 품질이라고 저는 칭합니다"고 자부심을 표현했다. 이해진 제조본부장은 "고객 만족을 위해 품질에 있어서는 타협하지 않는다는 품질 DNA 전통을 계승시키고 발전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정한결 기자

[관련기사]☞ 생방송 중 방문 잠기고 신음소리…'성관계 의혹' 여캠에 일어난 일"키스방 가는 건 불법이냐" 묻자 경찰관의 친철한 답변"김종국 잔잔한 근육, 약으로 못 만들어"…의사의 진단"아이 지켜보는데 집단 성폭행"…에티오피아 여성의 눈물'60억 건물주' 기안84, 28평 빌라로 이사 "여자분만 오시면…"
부산=정한결 기자 hanj@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