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손효림]'깐부' 의미 지킨 노장..가치 선택한 이들이 그립다

손효림 문화부 차장 2021. 11. 8. 03: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 손으로 '깐부'의 의미를 훼손시킬 수는 없잖아요." 드라마 '오징어게임'에서 오일남 역을 맡아 '깐부'라는 추억의 단어를 대유행시킨 오영수 배우(77)는 이 단어가 들어간 치킨 광고를 거절한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딱지치기, 구슬치기를 할 때 한 팀이나 동지를 뜻하는 깐부는 신뢰와 배신, 인간성 상실과 애정 등 인간관계를 함축한 말이자 '오징어게임'의 핵심 주제입니다. 이를 전하려 혼신의 힘을 다해 깐부 연기를 했는데 내가 닭다리를 들고 광고하면 사람들이 깐부에서 뭘 연상하겠어요." 그의 설명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손효림 문화부 차장
“내 손으로 ‘깐부’의 의미를 훼손시킬 수는 없잖아요.”

드라마 ‘오징어게임’에서 오일남 역을 맡아 ‘깐부’라는 추억의 단어를 대유행시킨 오영수 배우(77)는 이 단어가 들어간 치킨 광고를 거절한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극 중 오일남은 구슬치기 게임에서 자신을 속인 성기훈(이정재)에게 마지막 구슬을 건네고 죽음을 선택하며 “우린 깐부잖아”라고 말한다.

“딱지치기, 구슬치기를 할 때 한 팀이나 동지를 뜻하는 깐부는 신뢰와 배신, 인간성 상실과 애정 등 인간관계를 함축한 말이자 ‘오징어게임’의 핵심 주제입니다. 이를 전하려 혼신의 힘을 다해 깐부 연기를 했는데 내가 닭다리를 들고 광고하면 사람들이 깐부에서 뭘 연상하겠어요.”

그의 설명이다. 50년 넘게 연극을 한 그는 형편이 결코 넉넉하지 않다. 무대 위의 그는 때론 능청스러우며 교활하고, 때론 애잔한 연기로 관객을 단숨에 빨아들이지만 연극인의 길은 배고프다. 그는 영화, 드라마에 종종 출연했지만 단역이었다. 가장인 그가 목돈을 쥘 수 있는 광고 제안을 거절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광고 출연을 아예 안 하겠다는 게 아니라 광고 내용을 보고 판단한다고 했다.

과거 이동통신 광고를 찍은 적도 있다지만 그에게 광고의 메인 모델 제안이 쏟아져 들어온 건 50여 년 연기 인생에서 처음일 것이다. ‘물 들어올 때 노 젓자’는 심정으로 한몫 야무지게 챙길 수 있지만 그는 스스로 정한 가치를 망가뜨리는 일은 하지 않았다. 가족에게 평생 풍족하게 돈을 가져다주지 못했기에 이런 결정은 더 쉽지 않았으리라. “좀 너무하는 것 아니냐”면서도 결국 이해해줬다는 아내는 그가 가치를 지키게 한 일등공신이다.

임권택 감독(87)도 종종 광고 제안을 받는다고 한다. 하지만 그가 쌓아온 이미지와 맞지 않는 광고는 거절한다. 임 감독은 영화로 큰돈을 벌지 못했다. 그가 사는 경기 용인시 아파트는 딱 중산층 가정의 모습이었다. 며칠만 광고 촬영을 하면 큰돈이 들어오지만 그는 다른 선택을 했다. 아내 채령 여사(70)는 “감독님에게 누가 되는 방법으로 돈 버는 일은 절대 하지 않는다”고 단호히 말했다. 그런 채령 여사를 보며 임 감독이 자신의 결혼에 대해 “로또 맞았다”고 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한국 영화의 역사 그 자체인 임 감독의 행보는 후배 영화인은 물론 관객인 일반인에게도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물질적 풍요가 아닌 품격을 택한 그를 보며 거장의 몸가짐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돈이 권력이자 명예가 된 세상이다. 돈을 벌기 위해 애쓰는 건 당연하고 또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많은 이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박탈감은 물론 큰 상처를 주면서도 아랑곳하지 않고 돈만 좇는 이들이 적지 않은 현실에서 두 노장의 선택은 반가움을 넘어 경건함까지 느끼게 한다. 세상 곳곳에는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자기만의 가치를 묵묵히 지키는 이들이 있다. 우리 사회가 이 정도라도 유지되는 건, 그런 이들 덕분이라 믿는다.

손효림 문화부 차장 aryssong@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