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story] 2070 여성 6인의 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라떼 : 나의 20대] 이야기
창간 88주년을 맞은 여성동아가 20대 유튜버부터 70대 시니어 모델까지 여성 6인의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삶을 들여다봤다. 20대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이들의 이야기는 대한민국에서 여성으로 살아온 것에 대한 생생한 기록이자 시대와 트렌드, 사람에 대한 애정 가득한 성찰이다.
여성동아는 올해 창간 88주년을 맞이했다. 강산이 8번 변하고도 8년의 시간이 더 흐른 셈이다. 이 시간 동안 여성동아는 여성들을 위한 교양서이자 트렌드 길라잡이로서, '이상적 여성상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제시하며 여성의 삶을 조명해왔다. 트렌드는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한다. 그리고 시대상엔 그때를 살아간 여성들의 삶이 녹아 있다. 창간 88주년을 맞아 여성동아는 20대부터 70대까지의 여성에게 '자신이 20대 초반이었던 시절’의 패션과 여성상에 대한 공통 질문을 던져 여성의 삶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이야기를 나눴다. 이들은 각각 다른 세대로 지금까지 만난 적은 없었지만 할머니, 엄마, 딸, 언니, 동생으로서 유대감을 드러내며 서로를 응원했다. 여성동아 또한 앞으로도 독자들을 비롯해 이 땅을 살아가는 모든 여성들에게 아낌없는 응원을 보낼 것이다.
72세 윤영주
시니어 모델
단연코 미니스커트였죠. 뾰족구두에 올이 나간 가라스(일본어로 유리를 의미) 스타킹을 신고 꽃분홍 투피스를 입곤 했죠. 그 후엔 남녀 모두 입을 수 있는 '유니섹스’ 패션으로 청바지가 유행했고요.
스타일을 선도했던 아이콘, 셀렙을 꼽자면.
가수 윤복희 씨요. 짧은 머리에 미니스커트. 당시엔 엄청난 충격이었죠.
좋아했던 브랜드나 즐겨 했던 스타일은요.
톰보이(1977년 출시된 기성복 브랜드로, 현재는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운영한다)요. 국내에서 기성복으로 출시된 첫 번째 브랜드로 기억해요. 그때는 굉장히 세련된 디자인이었기에 잊을 수 없어요. 저는 운동화에 청바지를 주로 입었는데, 당시엔 여성이 운동화를 신는 것에 대해 안 좋게 보는 경향이 있어서 눈총을 받기도 했어요.
인기를 끌었던 물건이나 장소는.
명동의 '오비스캐빈’이 핫 플레이스였죠. 이곳을 가보지 않고는 대화에 낄 수 없을 정도였어요. '세시봉’이 문을 닫은 후 생겨났는데 지금 기준으론 '펍 레스토랑’이라 할 수 있죠. 당시 통기타 치던 사람들은 다 오비스캐빈 출신이에요. 대표적으로 가수 양희은 씨가 있어요. 요즘에야 압구정, 청담, 가로수길 등 핫 플레이스가 워낙 많지만 그때는 명동 아니면 종로였죠. 명동에서 노는 게 좀 더 멋쟁이 취급받았고요.
현재와 그때의 패션을 비교하자면.
저는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지지 않았어요. 편안한 청바지에 운동화(웃음). 다만 지금은 그때와 달리 비싼 옷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멋을 낼 수 있는 듯해요.
주로 어디서 옷을 샀나요.
대개 남대문 시장이었죠. 이것도 마땅치 않으면 남대문, 동대문 시장에서 옷감을 떼어다가 양장점에서 옷을 맞춰 입었어요.
일하는 여성에 대한 인식은 어땠나요.
부러워하면서도 감히 될 수는 없었던 존재였죠. 부모들도 좋은 집에 시집보내는 게 목표였던 시절이니까요. 딸이 공부하고 싶어 해도 시켜주지 않는 집이 많았고, 결혼도 주로 중매로 했어요.
‘워너비’로 여겼던 여성상을 꼽자면.
좋은 곳에 시집간 여자가 성공한 여성으로 여겨졌어요. 친구들끼리 만나도 "누가, 어느 대학 나온 남자를 만나서, 어떤 집에 시집갔다더라" 하는 내용이 주된 주제였죠.
지금 직업에 대한 당시 인식은 어땠나요.
당시 '모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었어요. 도전하기엔 큰 용기가 필요한 직업이었죠. 시니어 모델은 아예 없었고요.
여자라서 차별받았다고 느낀 적이 있나요.
차별은 평생 받았어요. 일일이 얘기하기엔 너무 많을 정도로. 제가 대학 입시를 앞둔 시점에 오빠가 제대해서 복학하게 됐는데, 부모님이 "네 오빠를 복학시켜야 하니 넌 대학에 가지 마라" 했어요. 대학에 합격했을 때는 가족 중 누구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았죠. 또 저는 아르바이트로 돈을 벌어 학교를 다녀야 했지만 오빠는 용돈 받으며 데이트하고 놀고(웃음). 결혼 후에도 육아는 제가 전담해야 했고 1년에 제사만 13번씩 지냈답니다(웃음).
같은 시대를 살아온 또래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일흔한 살에 모델로 데뷔했지만 늦었다는 생각은 하지 않았어요. 70대 정도 됐으면 자신이 뭘 좋아하는지 알잖아요. 겁내지 말고 저질렀으면 좋겠어요. 다만 무엇이든 하려면 건강해야 해요. 건강에도 꼭 유의했으면 좋겠어요.
오늘 20대부터 70대까지 여성들이 모여 인터뷰를 해요. 후배 세대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요.
삶을 돌이켜보면 지루할 때가 많아요. 유한하고 외롭죠. 나이가 들수록 더해요. 돈을 버는 일과는 별개로 젊었을 때부터 즐거운 걸 찾길 바라요(웃음).
64세 변소이
화가
발등을 다 덮을 정도로 긴 나팔바지에 '선반 구두’라는 통굽 구두가 유행했어요. 선반 위에 올라선 것처럼 굽이 높아 붙은 명칭이죠. 상의는 길이를 줄인 니트류가 인기였고요.
스타일을 선도했던 아이콘, 셀렙을 꼽자면.
프랑스의 배우 겸 가수 제인 버킨이요. 당시 '버킨 백’이 유행했어요. 물건을 막 구겨 넣은 라탄 백도요. 빈티지 데님에 헝클어진 머리와 액세서리 레이어링까지 하면 제인 버킨 스타일이었죠.
좋아했던 브랜드나 즐겨 했던 스타일은요.
뱅뱅, 꾸레주, 지방시, 피에르 가르뎅이 인기가 높았고 제일모직도 많이 입었어요. 제일모직을 입으면 옷 잘 입는 사람으로 대접받았죠. '뼝뼝’이라는 브랜드도 생각나요.
인기를 끌었던 물건이나 장소는.
저는 부산 출신인데, 남포동 쪽에 부연극장, 동명극장이 남녀 간 만남의 장소였어요. LP판을 하나씩 사서 들고 다니거나 손에 손수건을 묶고 다니는 것도 '멋’으로 여겨졌고요.
현재와 그때의 패션을 비교하자면.
크게 변화가 없는 것 같아요. 유행은 돌고 돈다는 걸 느껴요. 제가 그때 입었던 와이드 팬츠, 버뮤다팬츠를 지금도 입잖아요. 빈티지 옷도 그렇고요. 제 경우엔 그때에 비해 지금은 심플하고 헐렁한, 몸매가 잘 드러나지 않는 옷을 입어요. 저에게 더 맞는 스타일을 찾을 수 있게 됐죠.
주로 어디서 옷을 샀나요.
광복동, 남포동과 케네디 시장이라 불리던 골목이 주된 쇼핑 공간이었어요. 지금도 있어요. 거기서 구제 의류와 맞춤옷을 많이 샀죠. 맞춤옷은 원하는 스타일을 그림으로 그려 가면 그대로 제작해주곤 했어요.
일하는 여성에 대한 인식은 어땠나요.
직업보다는 결혼을 먼저 생각해야 하는 시기였어요. 일을 하면 결혼을 포기했거나 소홀히 생각하는 여자라 여겨졌고, 집안 형편이 어려운 여자들만 직업을 가져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어요.
‘워너비’로 여겼던 여성상을 꼽자면.
틀에 박힌 걸 거부하고 내면과 외면의 아름다움을 지켜나가는 여성이 각광 받았어요.
지금 직업에 대한 당시 인식은 어땠나요.
가정환경마다 차이는 있었겠지만, 전반적으로 평범한 존재로 인식되진 않았던 듯해요. 뭔가 특별한 존재랄까요(웃음).
여자라서 차별받았다고 느낀 적이 있나요.
차별이 너무 많아서 이를 당연하게 여기던 시절이었어요. "여자는 이래서, 저래서 안 된다"라는 말을 흔히 하던. 떠올려보자면 같이 밥상을 받아도 엄마가 오빠와 제 앞에 놓은 반찬이 달랐어요. 여자가 먼저 좋은 반찬을 먹으면 안 된다는 인식이 있었죠.
같은 시대를 살아온 또래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우리 나이쯤 되면 다 비슷할 것 같아요. 자식 걱정, 노후 걱정이 많죠. 하지만 그것만 하다 보면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잊어버리게 돼요. 아직 늦지 않았어요. 걱정은 접어두고 자기를 찾아 온전한 자신의 삶을 살아가길 바라요.
오늘 20대부터 70대까지 여성들이 모여 인터뷰를 해요. 선배 혹은 후배 세대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요.
지금 나이가 어떻든 우리는 모두 '나’예요. 또 시간이 흐른다고 할머니가 되는 게 아니에요. 저는 60대지만 제 내면은 여전히 20대 시절의 '나’를 품고 있어요. 모든 시절의 '나’가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도록 내면의 틀을 넓혔으면 좋겠어요.
54세 오혜정
주부
데님과 정장 스타일, 캐주얼 스타일이 공존했어요.
스타일을 선도했던 아이콘, 셀렙을 꼽자면.
트로이카로 불리던 3인방(윤정희, 문희, 남정임), 정윤희, 브룩 실즈가 인기가 많았죠. '컴퓨터 미인’이라고 해서 황신혜 씨도 많은 동경을 받았고요.
좋아했던 브랜드나 즐겨 했던 스타일은요.
리바이스, 뱅뱅, 써지오바렌테, 프로스펙스 등이요. 특히 프로스펙스 로고가 찍힌 신발, 가방은 다들 하나씩 갖고 싶어 했어요.
인기를 끌었던 물건이나 장소는.
삐삐였죠. 저는 고향이 전남 순천인데, 시골이라 그런지 더 갖기 어려웠어요(웃음). 핫 플레이스는 국도극장 바로 옆 '공간 사랑’이라는 카페가 생각나요. 다방도 인기 장소였어요. 소개팅을 주로 하는 곳이었거든요. 당구장도 꽤 많이 갔고.
현재와 그때의 패션을 비교하자면.
요즘 20대들은 모던한 스타일을 많이 입는 것 같고, 노출에도 두려움이 없어 보여요. 저희 때는 컬러풀한 스타일을 좋아했던 것 같은데, 실용적인 옷을 많이 입었어요. 저는 지금도 그렇고요.
주로 어디서 옷을 샀나요.
주로 브랜드 대리점에서 샀어요. 저 같은 시골 사람들은 다 그랬을 거예요. 저는 서울 친척 집이 있어서 그곳을 방문했을 때 양쪽 어깨에 비닐봉지 메고 동대문 새벽시장에 가본 적도 있어요.
일하는 여성에 대한 인식은 어땠나요.
경제활동을 하는 여자들이 크게 두드러지는 시대는 아니었던 것 같아요. 저는 대학을 졸업하고 선을 봐서 결혼했는데, 일하는 여성들에 대해 딱히 동경은 없었어요.
‘워너비’로 여겼던 여성상을 꼽자면.
‘현모양처’였죠. 아직 여자들의 사회 활동이 많지 않았던 시절이었기 때문인지 대개 내조, 육아 잘하는 현모양처를 꿈꿨던 것 같아요. 부모의 말에 순종하는 게 효도이자 미덕으로 여겨지기도 했고요.
지금 직업에 대한 당시 인식은 어땠나요.
그땐 일반적이었죠. 현모양처가 롤 모델이던 시절이니까요. 여자가 가사 노동, 육아를 하고 남자가 밖에 나가 돈을 벌어야 한다고 생각했고요.
여자라서 차별받았다고 느낀 적이 있나요.
남아선호사상이나 장남을 우선하는 등의 가부장적 문화가 있긴 했어요. 성역할도 다르다고 인식됐고요. 다만 저는 가정에서 차별받지 않았어요. 집마다 사정은 다 달랐겠지만.
같은 시대를 살아온 또래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결혼하고 이날까지 평생 주부로 살아왔어요. 집이라는 공간을 벗어난 적이 없다가 이렇게 나와서 인터뷰도 해보게 됐잖아요. 뭐든 늦은 건 없으니 시작하라고 말해주고 싶어요. 지금이 가장 젊고 아름다울 때니까요.
오늘 20대부터 70대까지 여성들이 모여 인터뷰를 해요. 선배 혹은 후배 세대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요.
후배 세대는 우리 세대보다 더 좋은 환경과 많은 기회가 주어졌어요. 무슨 기회든 잡고, 무엇이든 시도했으면 해요. 반대로 선배 세대는 우리 세대보다 더 힘든 일을 많이 겪고 기회도 적었겠지만, 여자는 태어나기보다 만들어지는 존재 같아요. 지금부터라도 자기 자신과 기회를 찾아 마음껏 도전하셨으면 좋겠어요.
42세 유민주
파티시에
패션잡지의 모델들이 트렌드를 선도했어요. 소위 '강북 스타일’ '강남 스타일’도 있었는데, 강북 스타일은 깻잎 머리가 상징이었고 강남은 워커, 면바지, 폴로셔츠 등을 입었어요. 힙합 스타일도 유행했고요.
스타일을 선도했던 아이콘, 셀렙을 꼽자면.
김민희, 정려원, 아오이 유우 등이 옷 잘 입는 스타로 각광받았고, 최고의 아이콘은 걸 그룹 '핑클’이었어요. 저도 이효리 씨처럼 머리에 흰색 블리치를 넣은 적이 있고요(웃음).
좋아했던 브랜드나 즐겨 했던 스타일은요.
시스템, EnC와 SJSJ요. 특히 한섬의 라인업이 대세였어요. 저는 단정한 스타일을 선호해서 더 좋아했고요.
인기를 끌었던 물건이나 장소는.
압구정 로데오 거리의 많은 카페들, 이화여대 정류장부터 정문까지의 신발 거리요. 압구정 로데오 거리에선 소개팅을 많이 하고 동성 친구들과 쇼핑할 땐 이대 앞을 자주 갔어요.
현재와 그때의 패션을 비교하자면.
요즘 20대들은 '패스트패션(트렌드를 반영해 빠르게 제작, 유통하는 의류)’이잖아요. 더 자유롭고 도전적인 것 같아요. 저는 패션에 관심이 많았지만 도전적이지는 못했어요. 대신 좋은 소재의 옷을 고르고 골라 소량으로 샀죠. 그래서 아직도 그때의 옷을 입곤 해요(웃음).
주로 어디서 옷을 샀나요.
백화점이나 동대문 시장이요. 당시 옷은 크게 백화점 옷과 동대문 옷으로 나뉘었어요.
일하는 여성에 대한 인식은 어땠나요.
대학을 졸업하면 잘났든 못났든 당연히 일을 해야 한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었어요.
‘워너비’로 여겼던 여성상을 꼽자면.
자유롭고 진취적인 여성이요. 이효리 씨가 대표적인 것 같아요. 또 여성 리더도 롤 모델이었어요. '천재 소녀’로 불렸던 윤송이(현 NC소프트 사장) 씨가 생각나요.
지금 직업에 대한 당시 인식은 어땠나요.
당시엔 지금 직업에 대한 개념 자체가 없었던 듯해요. 저만 해도 다니던 대기업을 나와 가게를 열었는데, 엄마는 우시고 아빠는 한동안 오지도 않으셨어요. 친하게 지내던 지인들도 절 멀리하더라고요.
여자라서 차별받았다고 느낀 적이 있나요.
‘남녀는 평등하다’는 교육을 받아서일까요. 차별받았다는 기억은 없어요. 다만 서울 황학동 주방 거리에 도구를 사러 남동생을 데리고 가니 혼자 갔을 때보다 30%는 싸게 팔더라고요. '여자라서 만만히 보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죠.
같은 시대를 살아온 또래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40대는 자신의 커리어와 육아 사이에서 갈등과 슬럼프를 겪게 되는 것 같아요. 직장에서는 직급이 올라가면서 외로워지기도 하고요. 하지만 가장 아름다운 시절이라 생각해요. 커리어에서 많은 성취를 이뤄낼 수 있는 시기니까요. 같이 힘을 냈으면 좋겠어요.
오늘 20대부터 70대까지 여성들이 모여 인터뷰를 해요. 선배 혹은 후배 세대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요.
우리는 실패가 두려워서 도전을 하지 못할 때가 많아요. 나이가 들수록 두려움은 더 커지고, 실패했다는 말을 꺼내기도 어려워져요. 타인의 평가에 눈치 보지 말았으면 하고, 자신의 세대가 어떻든 서로의 실패를 위로할 수 있다면 좋겠어요.
36세 박현선
인플루언서 겸 쇼핑몰 CEO
부츠컷, 로라이즈 청바지에 블라우스, 카디건을 입는 게 유행했죠. 세븐진, 트루릴리젼 청바지에 힐을 신고 짧은 카디건을 입는 식이요.
스타일을 선도했던 아이콘, 셀렙을 꼽자면.
제 경우는 제시카 알바요. 당시 파파라치들에게 찍힌 사진이 유행했는데, 그 옷차림을 많이 따라 하곤 했어요.
좋아했던 브랜드나 즐겨 했던 스타일은요.
저는 무용을 전공해서 쥬시꾸뛰르의 벨벳 트레이닝복 세트를 교복처럼 입었어요. 마크제이콥스, 세븐진 청바지도 많이 착용했고요.
인기를 끌었던 물건이나 장소는.
왕 머리띠, 슈콤마보니 신발이 유행했고, 압구정 로데오 거리가 핫 플레이스였어요. 맥도날드도 자주 갔고 '커피오카’라는 버블티 집도 인기가 많았죠.
현재와 그때의 패션을 비교하자면.
비슷하지만 저희 때는 배를 잘 내보이지 않았어요. 요즘엔 재킷도 와이드한데 크롭트 티에 배기팬츠를 입잖아요. 허리를 강조하고 골반을 크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어요. 서양 스타일로 많이 변한 듯해요. 또 저희 때는 부츠컷 바지에 힐을 주로 신었다면 지금 세대는 운동화를 즐겨 신고요.
주로 어디서 옷을 샀나요.
백화점에는 시즌별로 옷이 나오는데, 매번 스타일이 비슷하다 느껴서 해외 직구를 많이 했어요. 또 체구가 작다 보니 기성복은 사이즈가 잘 맞지 않을 때가 많았어요. 그래서 직접 만들어 입기도 했죠.
일하는 여성에 대한 인식은 어땠나요.
일하는 여성과 그렇지 않은 여성에 대한 구분이 뚜렷했던 것 같아요. 예컨대 일하는 여성은 '워킹맘’, 그렇지 않은 여성은 '아줌마’로 생각하는 식이요. 또 일하는 여성은 '돈을 벌기 위해’ 직업을 가진 사람으로 여겨지곤 했어요. 지금은 자존감과 커리어를 위해 일하는 여성들이 많은 것 같아요.
‘워너비’로 여겼던 여성상을 꼽자면.
이효리 씨처럼 정체성과 자기주장이 강한 여성들이 각광받았어요.
지금 직업에 대한 당시 인식은 어땠나요.
저는 20대 초반에 학교를 다니며 온라인쇼핑몰 운영을 시작했어요. "왜 그렇게 일을 열심히 하냐, 집 사정이 어렵냐"라는 말을 듣곤 했죠(웃음). 요즘은 온라인 쇼핑이 너무나 일반적이지만 그땐 옷은 당연히 입어보고 사야 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어요.
여자라서 차별받았다고 느낀 적이 있나요.
성별 때문에 차별받은 기억은 없는 것 같아요. 아, 사업을 하면서 나이가 좀 있는 남성들로부터 "여자가 뭘~" 이런 소리를 들은 적은 있네요(웃음).
같은 시대를 살아온 또래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저는 원래 모든 일에 안 돼도 상관없다는 생각으로 무조건 부딪쳐보는 스타일이에요. 그런데 요즘은 20대 때보다 에너지가 덜해진 걸 느껴요. 아직 젊은데(웃음). 그러니 가능할 때 무조건 도전하면 좋겠어요.
오늘 20대부터 70대까지 여성들이 모여 인터뷰를 해요. 선배 혹은 후배 세대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요.
자신만의, 할 수 있는 무언가를 가진 여성은 정말 멋있게 느껴져요. 누구든 자기 계발을 꾸준히 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실히 해나갔으면 좋겠어요. 그러면 자존감도 지킬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28세 홍자민
유튜브 크리에이터
치마 레깅스와 플로럴 패턴이 들어가 있는 옷이 유행했어요. 저도 과잠(학과 점퍼)에 플로럴 패턴을 새겼고요(웃음).
스타일을 선도했던 아이콘, 셀렙을 꼽자면.
김나영 씨요. 방송인에서 한창 '패션 피플’로 떠오르던 시기로 기억해요. 러블리한 느낌의 공효진 씨도 있었고요.
좋아했던 브랜드나 즐겨 했던 스타일은요.
셀린, 르메르 브랜드를 좋아했어요. 슬랙스, 청바지를 즐겨 입었고 챙이 앞으로 나온 모자도 캐주얼하게 쓰곤 했죠.
인기를 끌었던 물건이나 장소는.
루피 망고 모자요. 두꺼운 털실로 뜬 모잔데 대유행이었어요. 이세이미야케의 바오바오 가방도 하나씩 들고 다녔죠. 핫 플레이스는 홍대 거리요. 특히 합정동으로 넘어가는 길에 있는 '삼거리포차’에서 술을 많이 마셨어요(웃음).
현재와 그때의 패션을 비교하자면.
거의 다를 게 없어요. 그때도 과하지 않은 걸 좋아했어요. 어두운 색 혹은 흰색, 검은색 같은 무채색 계열을 선호했죠. 굳이 차이를 꼽자면 취향이 더 클래식하게 변했어요. 조금이라도 더 심플하게, 하나 더 빼려고 하죠. 예를 들어 전보다 액세서리를 하나라도 더 줄이려 해요.
주로 어디서 옷을 샀나요.
길거리나 온라인쇼핑몰에서 구매했어요. 온라인쇼핑몰 중엔 '스타일난다’ '프롬비기닝’을 좋아했어요. 또 명품에 빠져서 아르바이트로 돈을 모아 하나씩 사기도 했는데, 첫 명품은 생로랑 클래식 체인 백이었어요(웃음).
일하는 여성에 대한 인식은 어땠나요.
여자가 일하는 게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졌죠. 취업 준비할 때 설명회에 가면 여자들이 더 많이 왔던 기억이 나요.
‘워너비’로 여겼던 여성상을 꼽자면.
특정인을 꼽을 순 없지만 주체적이고 자기 주관이 뚜렷한 여자가 이상적이라 여겨졌어요.
지금 직업에 대한 당시 인식은 어땠나요.
그땐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직업으로 생각되진 않았던 것 같아요. 유튜브 크리에이터에 앞서 아프리카TV 등에서 BJ가 먼저 유행했는데, 초창기 BJ에 대한 인식이 안 좋았던 것처럼 저희 역시 '관심 종자’로 여겨졌어요. 사실 지금도 그렇게 우호적이진 않아요. 소개팅을 하려 해도 제 직업이 부담스럽다며 상대가 받지 않는 경우도 있었어요.
여자라서 차별받았다고 느낀 적이 있나요.
차별을 받은 기억은 없어요. 하지만 차별적인 발언이라 느껴지는 말은 들었죠. "여자는 예뻐야 하고 몸매도 좋아야 한다"는 말이요. 자신이 예쁘고 싶은 건 상관없지만 'Must’가 된다면 차별이죠. 각자의 개성이 있다고 생각해요.
같은 시대를 살아온 또래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저는 다니던 회사를 관두고 이 일을 하게 됐어요. 이유는 '하고 싶은 걸 하기 위해서’였어요. 주변 또래들을 보면 취향이 뚜렷한 사람이 별로 없어요. 자기가 정말 뭘 하고 싶은지 찾기 위해선 많이 보고, 많이 다니고, 많이 들어야 해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꼭 찾았으면 해요. 앞으로의 삶이 길잖아요.
오늘 20대부터 70대까지 여성들이 모여 인터뷰를 해요. 선배 세대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요.
모두 오랫동안, 내면과 외면 모두 건강하시면 좋겠어요. 엄마를 보며 종종 '무엇이든 엄마가 더 배우고 공부했으면 좋겠다’ 생각하곤 했어요. 나이와 상관없이 더 재미있게 자신의 삶을 사셨으면 좋겠어요.
사진 조영철 기자
제품협찬 일바(ILVA) 헤어 박소담 메이크업 박수연
글 이현준 이진수 기자
Copyright © 여성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