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뉴스] 소는 로봇이 키운다..사료 주고 우유 짜고 스스로 충전

2021. 10. 29. 21: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그럼 소는 누가 키우나' 라는 유행어가 있었죠. 사람들이 떠나면 원래 하던 본업은 누가 하느냐는 뜻일 텐데요. 고령화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이제는 로봇이 소를 키우는 시대가 됐다고 합니다. 스마트해진 축산업, AI앵커가 전해 드립니다.

【 기자 】 소에게 사료를 먹일 시간.

그런데 농부 대신 로봇이 사료를 싣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바닥에 설치된 초음파센서를 따라 축사로 이동합니다.

축사에 도착한 로봇.

사료를 소에게 마구 붓는 게 아닙니다.

컴퓨터에 입력된 소 나이와 성장 단계에 따라 사료량을 조절합니다.

사료를 주다가 장애물이 감지되면 멈춰 서고, 일을 마치면 로봇 청소기처럼 스스로 충전도 합니다.

▶ 인터뷰 : 김삼기 / 스마트 목장주 - "하루에 4시간씩 일을 해야 하는데, 기계가 도입된 이후로는 30분 이내에 소 먹이를 다 주니까 나머지 시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이번엔 젖이 차오른 소가 기구 안으로 들어옵니다.

센서가 개체를 인식해 젖을 짜야 할 대상이면 로봇팔이 젖꼭지를 소독한 뒤 착유컵을 부착해 우유를 짭니다.

로봇은 모니터를 통해 우유의 성분과 채취량을 표시하고, 소의 건강상태도 알려줍니다.

▶ 인터뷰 : 박성민 / 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 "소 1마리를 사육하는 데 연간 드는 시간이 70시간인데요. 그 중 30시간이 (우유 짜는데) 소요됩니다. 로봇 착유기를 활용하면 시간이 절반 이하로…."

농촌에도 로봇이 투입되면서 농부는 단순 노동에서 벗어나고, 생산성과 인력 절감 효과도 한꺼번에 잡게 됐습니다.

지금까지 AI 앵커였습니다.

영상취재 : 조계홍 기자 영상편집 : OOO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