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헌재, 임성근 탄핵 '각하'.. 與는 사법부 길들이기 사죄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헌법재판소가 어제 '재판개입' 혐의를 받는 임성근 전 부산고법 부장판사의 탄핵심판 선고공판에서 '각하' 결정을 내렸다.
더불어민주당 등 범여권 국회의원이 다수의 힘을 앞세워 지난 2월 임 전 부장판사 탄핵소추안을 의결한 지 8개월 만이다.
법원이 지난해 2월 임 판사의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지만 김 대법원장은 "탄핵문제로 사표를 수리할 수 없다"며 반려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심 무죄 후 퇴임, 소추 요건 미비
진영논리 휘둘린 대법원도 책임 커
임 전 판사는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무죄선고를 받고 퇴임했다. 헌법 65조4항에도 ‘탄핵결정은 공직으로부터 파면함에 그친다’고 정하고 있다. 삼척동자도 아는 당연한 법리를 법을 만드는 국회의원들이 몰랐다는 것 자체가 한심하다. 오히려 헌정사상 첫 법관탄핵소추 발의에서 통과까지 여당이 보여준 행태는 황당했다. 임 전 판사가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건 지난해 2월이다. 그의 행위가 탄핵 대상이라면서 1년가량 방치했다. 오히려 여당의 직무유기를 추궁해야 할 판이다. 그런데도 뒤늦게 탄핵을 하겠다며 법석을 떨더니 일부 의원은 탄핵안 내용도 모른 채 백지 발의안에 서명했다. 참여하지 않은 의원에게는 ‘문빠’의 문자폭탄이 쏟아졌다.
문재인정부 들어 사법부의 친정부·노동계 인사에 대한 편향적 판결이 이어졌다.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비판을 들을 정도로 사법의 정치화가 심화됐다. 그러다가 지난해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드루킹 여론조작 유죄판결이 나왔고, 올 들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징계무효, 조국 전 장관 부인 정경심 교수와 최강욱 열린민주당 의원 입시비리에 대해 유죄판결이 이어졌다. 위기의식을 느낀 여당이 법관탄핵을 무기로 ‘사법부 길들이기’에 나섰지만 그 결과는 국민적 공분뿐이다. 자업자득이다.
이번 헌재 결정을 교훈 삼아 여당은 정치논리에 매몰된 ‘사법부 겁박’에 대해 국민에게 사죄해야 한다. 사법부 불신을 초래한 김명수 대법원장의 책임도 크다. 법원이 지난해 2월 임 판사의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지만 김 대법원장은 “탄핵문제로 사표를 수리할 수 없다”며 반려했다. 김 대법원장은 임 부장판사와의 대화 녹취록이 공개되기 전까지 거짓말로 일관하다 뒤늦게 “기억이 안 난다”며 얼버무렸다. 자리에 연연한다는 비판을 듣지 않으려면 더는 진영논리에 휘둘려서는 안 될 것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종민, 18년 함께한 ‘1박 2일’ 하차? → 제작진 “긍정적으로 논의”
- 김혜경 여사, ‘90도’ 인사하는데…‘李 선배님’ 권성동, 못 본 척?
- “연봉 2억2000만원, 사택에 휴가비까지?”…여기가 진짜 ‘넘사벽’ 직장입니다
- “시험관까지 하고 싶지 않아”...이효리, 2세 계획 발언에 누리꾼들 ‘시끌’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
- 이미주, 김희철과 1주년 자축 “온갖 텃세 참으며 활동...오래갈 줄 몰라”
- ’76세’ 전유성, 몰라보게 야윈 얼굴...조혜련 “마음이 울컥, 건강하시길”
- 혜은이, 스캔들 → 사망설까지...도 넘은 가짜뉴스에 황당 “연예인 해야 하나”
- 소지섭 닮은 신랑과 결혼 두 달 만에…티아라 효민 ‘별거’ 고백, 무슨 일?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