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부인 이순자 조문..5·18 질문에 묵묵부답

백길현 2021. 10. 28. 21: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리뷰]

[앵커]

전두환 전 대통령의 부인 이순자 여사가 노태우 전 대통령 빈소를 찾아 조문했습니다.

5·18 유족에게 사과할 의향이 있는지 기자들이 물었지만 아무 말 없이 자리를 떠났습니다.

백길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전두환 전 대통령의 부인 이순자 여사가 아들 전재국씨 손을 잡고 장례식장에 들어섭니다.

노 전 대통령의 별세 소식에 눈물을 보인 것으로 알려진 전 전 대통령은 혈액암 투병으로 건강이 좋지 않아 이 여사가 대신 조의를 표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10분 뒤 빈소에서 나온 이 여사는 5.18 유족에 사과할 계획이 있는지 질문받았지만 입을 열지 않았습니다.

<현장음> "어떤 말씀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5·18 희생자들에게 사과하실 생각 없습니까? 이순자씨"

노 전 대통령 장례가 국가장으로 결정되면서 전 전 대통령도 국가장으로 장례가 치러지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자 정치권은 서둘러 진화에 나섰습니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는 말로 선을 그었습니다.

<이철희 / 청와대 정무수석 (CBS 김현정의 뉴스쇼)> "전두환 전 대통령을 언급하시는 분들도 있던데, 저희는 완전히 다른 케이스라고 봅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경우는 국가장이나 심지어 국립묘지 안장이나 이런 건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생각하고요."

민주당 송영길 대표는 전 전 대통령에 대해 국가장을 치를 수 없도록 관련법을 개정하겠다고 했고,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유연성 있게 해야 한다"는 단서를 달긴 했지만, 법제화에 반대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노 전 대통령 빈소에는 정치권 인사들의 조문 행렬이 이틀째 이어졌습니다.

<반기문 / 전 유엔 사무총장> "공과가 있을 수가 있는데 평생 외교관의 입장에서 보면 대한민국의 외교 지평을 대폭적으로 확대한 분은 노태우 대통령이시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씨,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삼남 김홍걸 의원, 김기춘 전 박근혜 대통령 비서실장, 정운찬 전 총리 등이 빈소를 찾았습니다.

연합뉴스TV 백길현입니다. (whit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