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대유행에.. 지구촌 노동시장 꽁꽁 얼었다

박진영 2021. 10. 28. 19: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적으로 지난해 2월부터 1년 8개월 가까이 진행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노동시장에 끼친 충격파가 예상보다 더 크리라는 전망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27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유엔 산하 국제기구인 국제노동기구(ILO)는 '코로나19와 직업 세계'란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올해 전 세계 15∼64세 생산가능인구의 근로시간이 코로나19 대유행이 발발하기 전인 2019년 4분기와 비교해 4.3%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LO 보고서.. 정규직 일자리 1억2500만개 줄어
팬데믹 이전보다 4.3% 감소 예상
전망치 -3.5%보다 일자리 더 줄어
국가간 노동시장 빈부격차 뚜렷
재정 부양 86% 고소득국에 쏠려
근로시간 감소도 2배 이상 차이
불균형 해소위해 백신 지원 시급
지난 2020년 4월 7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미국에서 실업대란이 가시화한 가운데 플로리다주 하이얼리어의 한 도서관 주차장에 실업수당 신청서를 받으려는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 있다. 하이얼리어=EPA연합뉴스
세계적으로 지난해 2월부터 1년 8개월 가까이 진행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노동시장에 끼친 충격파가 예상보다 더 크리라는 전망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27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둔 유엔 산하 국제기구인 국제노동기구(ILO)는 ‘코로나19와 직업 세계’란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올해 전 세계 15∼64세 생산가능인구의 근로시간이 코로나19 대유행이 발발하기 전인 2019년 4분기와 비교해 4.3%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정규직 일자리 개수로 환산하면 1억2500만개에 상응하는 것이라고 ILO는 설명했다. ILO가 올해 6월 내놓은 전망치인 -3.5%(정규직 일자리 1억개)보다 큰 수치다.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분기별 근로시간 손실은 1분기는 지난해 4분기와 같은 -4.5%, 2분기와 3분기는 각 -4.8%, -4.7%로 추산됐다.

노동시장에서도 국가 간 빈부 격차는 뚜렷했다. 올 3분기 고소득 국가의 근로시간은 2019년 4분기보다 3.6% 감소했다. 중저소득 국가의 경우엔 그보다 2배 가량 많은 7.3%가 줄어들어 대조를 이뤘다. 지역별 차이도 두드러졌다. 유럽과 중앙아시아는 2.5% 감소하는 데 그친 반면, 아시아·태평양은 4.6%, 미주 5.4%, 아프리카 5.6%, 아랍권은 6.5% 감소했다.
이를 두고 ILO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근로시간) 회복 과정이 불확실하고 속도가 같지 않은 건 심각한 문제”라면서 “세계 경제를 위협한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 같은 현상은 코로나19 백신 접종률과 재정 부양책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달 초 기준으로 전체 국가의 백신 접종 완료율은 34.5%로 집계됐다. 소득 수준별로는 고소득 국가의 경우엔 59.8%에 달했으나 저소득 국가는 1.6%에 불과해 차이가 현격했다.

또 전 세계 재정 부양책의 86% 정도가 고소득 국가에 쏠려 있다고 ILO는 지적했다. 정부가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1%에 해당하는 재정을 쏟아부으면 연간 근로시간이 2019년 4분기 대비 평균적으로 0.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해법으로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공평한 접근과 분배를 제시했다. ILO는 “세계적 연대로 불균형 문제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며 “저소득 국가들이 백신에 좀 더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다면 근로시간 회복 측면에서 고소득 국가들을 1분기 만에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저소득 국가들에 재정적 지원 등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선진국과 개도국 간 고용 회복세 차이가 좁혀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