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스트리트] 조만장자

구본영 2021. 10. 28. 18: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에서 백만장자(millionaire)가 부자의 대명사인 양 쓰인 건 오래 전 일이다.

순자산이 100만달러만 넘어도 대단했던 17~18세기에 통용됐던 용어다.

순자산이 10억달러(약 1조1800억원)가 넘는 대부호가 드물지 않은, 시대적 흐름이 반영된 셈이다.

세계 1위 경제대국 미국을 포함해 전 세계 78억명 중 누구도 재산 1조달러(약 1178조원) 고지를 밟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세계 최초로 ‘조만장자(trillionaire)’ 반열에 올라설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뉴스1
미국에서 백만장자(millionaire)가 부자의 대명사인 양 쓰인 건 오래 전 일이다. 순자산이 100만달러만 넘어도 대단했던 17~18세기에 통용됐던 용어다. 이후 부의 축적과 자산 인플레가 겹치면서 억만장자(billionaire)가 이를 대체했다. 순자산이 10억달러(약 1조1800억원)가 넘는 대부호가 드물지 않은, 시대적 흐름이 반영된 셈이다.

그러나 '조만장자'(trillionaire)는 아직 생경한 단어다. 세계 1위 경제대국 미국을 포함해 전 세계 78억명 중 누구도 재산 1조달러(약 1178조원) 고지를 밟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최근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투자은행 모간스탠리 애널리스트들이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이 경지에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차 '대박'에 이어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로 인해 자산이 더 불어날 것으로 보면서다. 그는 현재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 순위에서 2220억달러(약 261조원)로 1위다.

미 의회에선 요즘 부자 증세 움직임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여당인 민주당이 상원에서 추진 중인 '억만장자세'가 대표적이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사회복지 예산 재원 마련을 위해 극소수 슈퍼 리치들에게 증세를 하려는 방안이다. 10억달러 이상 자산 보유, 또는 3년 연속 1억달러 이상 소득을 올린 약 700명이 대상으로 추정된다. 그러면 미 10대 부호들은 5년간 2760억달러를 세금으로 내야 한다. 가장 많이 부담(500억달러)할 머스크는 조만장자의 꿈을 접어야 할 판이다.

법안의 통과 여부는 아직 불투명하다. 당장 주식, 채권과 같은 자산의 미실현 이익에 대해 최소 20%의 세율을 매기는 방안에 대한 당사자들의 반발이 거세다. 이중과세 성격에 연방대법원이 위헌 판결할 가능성도 변수다. 증세를 해도 바이든의 복지 인프라 예산을 감당하는 데는 역부족인 터에 무리수를 둘 필요가 없다는 반론이 제기되면서다. 소득 양극화와 경제 회생이라는 두 갈래 길에서 미국 조야의 선택이 주목된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