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가리 다뉴브강 적신 한국어 진혼곡

오수현 2021. 10. 28. 17: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양재무 음악감독 등 중창단 40명
유람선 참사현장 찾아 추모
남성 중창단 이마에스트리가 지난 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다뉴브강에서 2019년 유람선 사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노래를 부르고 있다.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지난 5일(현지시간) 헝가리 부다페스트를 종으로 가로지르는 다뉴브강 머르기트 다리 부근에선 한국어 노래가 울려퍼졌다. 이곳에선 2019년 5월 한국인 관광객들을 태운 유람선이 크루즈선과 충돌한 참사가 발생했다. 배에 오른 한국인 33명 중 27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다. 이날 한국인 남성 성악가 40명으로 구성된 중창단 '이마에스트리'는 김소월의 시 '초혼'을 가사로 삼은 '산산이 부서질 이름이여'를 부르며 희생자들 넋을 위로했다. 석양으로 물든 저녁 풍경을 배경으로 펼쳐진 이 진혼곡은 더 없이 처연하고 쓸쓸했다.

'산산이 부서질 이름이여'를 작곡한 양재무 이마에스트리 음악감독(61)은 최근 "사고가 발생한 지 2년이 넘었는데도 아직도 현장에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꽃이 여럿 놓여 있었다"며 "퇴근길에 많은 헝가리인이 우리의 노래를 듣고 발걸음을 멈췄고, 함께 묵념했다"고 말했다.

양 감독은 사고가 일어났던 2019년부터 추모 음악회를 구상했지만, 코로나19 탓에 2년이 지나서야 현장을 찾을 수 있었다. "딸이 보내준 효도관광을 온 노부부가 느닷없는 사고로 세상을 떠났어요. 말 그대로 허공중에 사라진 이름이 된 거예요. 초혼만큼 이 비극을 노래할 수 있는 시가 없다고 생각했어요. 한국의 진혼 문화 핵심은 통렬한 슬픔이에요. 정말 슬프게 운 뒤 사람들은 카타르시스(감정의 정화)를 느끼게 되죠. 이 곡은 아주 강력한 포르테로 부서질 듯 마무리돼요. 한국적인 슬픔을 표현하려고 했어요."

2006년 창단된 이마에스트리는 '마에스트로(거장)들의 모임'이라는 의미다. 지난달 29일 체코 프라하를 시작으로 오스트리아 빈, 헝가리 부다페스트,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세르비아 포자레바츠와 베오그라드까지 유럽 5개국을 돌며 공연을 펼쳤다. 코로나19 이후 첫 한국 음악단체의 유럽 투어였다. "그리운 금강산과 아리랑, 가고파 등 한국 가곡을 불렀는데 현지 반응이 굉장히 뜨거웠어요. 세르비아 공연을 앞두고 리허설에서 아리랑을 부르는데 우리와 함께 공연한 현지 여성합창단원 중 몇몇이 눈물을 흘리더군요. 가사를 이해할 순 없지만 아리랑 안에 있는 한의 정서가 그들 마음을 건드린 거예요. 한국 가곡을 세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죠."

[오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