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여행업계 "국경 열려도 '큰손' 중국인 못와..내년 늦게나"

김남권 2021. 10. 28. 17: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태국이 내달 1일부터 코로나19 저위험 국가 46개국을 대상으로 국경을 재개방하는 가운데, 관광업계 최대 고객인 중국인들은 내년 늦게나 태국을 방문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28일 현지 매체 네이션에 따르면 태국여행사협회(ATTA)는 중국 당국이 지금으로부터 약 1년이 지나서야 자국민의 태국 여행을 허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날 전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전 1천100만명 방문 '1위'..베이징 동계올림픽 앞두고 '국경 봉쇄'
마스크를 쓰고 방콕 시내 왕궁을 둘러보는 관광객들. 2020.2.1 [EPA=연합뉴스]

(방콕=연합뉴스) 김남권 특파원 = 태국이 내달 1일부터 코로나19 저위험 국가 46개국을 대상으로 국경을 재개방하는 가운데, 관광업계 최대 고객인 중국인들은 내년 늦게나 태국을 방문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28일 현지 매체 네이션에 따르면 태국여행사협회(ATTA)는 중국 당국이 지금으로부터 약 1년이 지나서야 자국민의 태국 여행을 허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날 전망했다.

중국은 내달 1일부터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이들이 태국에 무격리 입국할 수 있는 46개국에 포함됐다.

싯티왓 치와랏따나폰 ATTA 회장은 "지금부터 내년 말 사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2022년 2월)과 항저우 아시안게임(2022년 9월), 두 중요한 행사가 열린다. 이 행사들이 중국 당국의 해외여행 정책에 대해 말해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싯티왓 회장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에는 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이 1천100만명으로 전체 해외 관광객의 27%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이들이 태국에 쓰고 간 돈만 해도 5천430억 밧(약 19조810억원)으로 추산됐다.

그렇지만 중국 당국이 내년에도 강력한 방역 대책을 지속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태국 관광업계로서는 '악재'가 된 셈이다.

중국은 내년 2월4일 개막하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현재 철저한 방역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베이징(北京)이 입국 제한 조치를 적어도 1년간 연장할 계획이라고 최근 보도했다.

그러면서 이는 내년 상반기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하반기 중국 공산당 20차 당 대회라는 두 행사를 순조롭게 치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싯티왓 회장은 "중국 당국이 자국민의 태국 방문을 허용하지 않고 있는 만큼, 내년 1년간 우리는 영국과 독일, 프랑스 및 스칸디나비아반도 국가들과 미국, 중동 국가들에 초점을 맞춰 방문객을 유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outh@yna.co.kr

☞ '일용 엄니' 김수미-'일용이' 박은수 19년만에 재회
☞ '86세' 김옥숙 여사, 지팡이 짚고 남편 노前대통령 빈소 찾아
☞ '진흙탕 싸움' 쇼트트랙…최민정 "심석희, 사과 시도 중단하라"
☞ 이순자 여사, 조문…"전두환 前대통령 건강때문에 못와"
☞ "김용호에 고깃집서 당했다"…영상도 경찰에 제출
☞ 백건우 "윤정희 동생이 연주료 21억원 횡령한 게 사건 발단"
☞ "죽어도 못 보내" 새끼 잃은 어미 개의 절규
☞ "이 정도면 연체동물?"…믿기지 않는 '오징어 소녀'
☞ 노태우 빈소인데…황교안 "노무현 대통령, 민주화 길 열어"
☞ 빈소 지킨 딸 노소영…조문 온 최태원과 '조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