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정철호 보유자 별세

2021. 10. 28. 16: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고법)' 정철호(1923년생) 보유자가 노환으로 10월 27일(수) 오후에 별세하였다.

  □ 생년월일: 1923. 4. 25.  □ 빈    소: 서울 은평성모병원 장례식장 5호실(☎02-2030-4444)  □ 발    인: 2021. 10. 30.(토), 09:00  ※장지: 남한강 공원묘지  □ 유    족: 양타연(처), 정택수, 정택준(이상 子), 정준희(女),   □ 주요경력    - 1947. 남원 전국명창대회 판소리부문 장원    - 1982. 제1회 국악공로상 수상    - 1987. KBS국악대상 수상    - 1995. 국무총리 표창(국악보급 공로)    - 1996.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고법)' 보유자 인정    - 1998. 제8회 동리국악대상 수상    - 1999. 세종문화상(대통령상)    - 2001. 보관문화훈장    - 2008. 방일영국악상 수상※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1964. 12. 24. 지정)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창(소리), 말(아니리), 몸짓(너름새)을 섞어가며 긴 이야기를 엮어가는 것을 말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고법)’ 정철호(1923년생) 보유자가 노환으로 10월 27일(수) 오후에 별세하였다.


  □ 생년월일: 1923. 4. 25.
  □ 빈    소: 서울 은평성모병원 장례식장 5호실(☎02-2030-4444)
  □ 발    인: 2021. 10. 30.(토), 09:00  ※장지: 남한강 공원묘지
  □ 유    족: 양타연(처), 정택수, 정택준(이상 子), 정준희(女),
  □ 주요경력
    - 1947. 남원 전국명창대회 판소리부문 장원
    - 1982. 제1회 국악공로상 수상
    - 1987. KBS국악대상 수상
    - 1995. 국무총리 표창(국악보급 공로)
    - 1996.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고법)’ 보유자 인정
    - 1998. 제8회 동리국악대상 수상
    - 1999. 세종문화상(대통령상)
    - 2001. 보관문화훈장
    - 2008. 방일영국악상 수상


※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1964. 12. 24. 지정)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창(소리), 말(아니리), 몸짓(너름새)을 섞어가며 긴 이야기를 엮어가는 것을 말한다. 현재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 등 다섯 바탕과 고법이 가다듬어져 전승되고 있다.
  1938년 고(故) 임방울 명창에게 소리를 배우면서 판소리에 입문한 고(故) 정철호 보유자는, 1947년 남원 전국명창대회 판소리 부문 장원을 차지하면서 국악계에 그 이름을 알렸으며, 고(故) 김재선 선생에게 고법을 전수받아 1996년 판소리(고법)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고(故) 정철호 보유자는 1999년 (사)청강판소리고법보존회를 개원하여 판소리(고법)의 후진 양성과 보급을 위해 노력했으며, 판소리분야 뿐만 아니라 아쟁의 보급, 전통가무악전국제전 등 국악대회 운영, 한국국악협회 이사 역임 등 한평생 국악 전반의 전승과 발전을 위해 헌신하였다.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고법)’ 고(故) 정철호 보유자>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