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안지구 정착촌 확대에 미 강력 반발..미-이스라엘 갈등 표면화

이본영 2021. 10. 28. 12: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서안지구에서 3천여 가구 규모의 정착촌 확대에 착수하면서 미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미국 인터넷 매체 <액시오스> 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26일 베니 간츠 이스라엘 국방장관과 통화해 새 정착촌 건설 계획에 대한 반대 의사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서안지구 3130채 신규 건설 계획
미 국무부 "깊은 우려, 강하게 반대한다"
바이든 행정부 대이스라엘 관계 시험대
서안지구의 이스라엘 정착촌. 로이터 연합뉴스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서안지구에서 3천여 가구 규모의 정착촌 확대에 착수하면서 미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미국 인터넷 매체 <액시오스>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26일 베니 간츠 이스라엘 국방장관과 통화해 새 정착촌 건설 계획에 대한 반대 의사를 밝혔다고 보도했다. 최근 이스라엘 국방부는 지난 6월 나프탈리 베넷 총리 정부 출범 이후 최초로 정착촌 확대 방침을 밝혔다. 이번 계획은 주로 서안지구의 깊숙한 곳에 자리잡은 이스라엘 정착촌 25곳에 주택 3130채를 짓는다는 내용이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도 이날 “우리는 정착촌을 수천 가구 확대한다는 이스라엘 정부의 계획에 깊이 우려한다”며 “긴장을 낮추고 평온을 지키려는 노력에 전적으로 부합하지 않는 정착촌 확대를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스라엘 주재 미국 고위 외교관도 베넷 총리의 안보보좌관에게 이런 뜻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뉴욕 타임스>는 이런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국방부가 27일 정착촌 확대를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의 최대 후원국인 미국이 이스라엘의 정책에 대해 공개적이고 강경한 반대 의사를 밝힌 것은 이례적이다. 베넷 이스라엘 총리 취임 이후 처음일 뿐 아니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뒤 최초이기도 한 정착촌 확대가 양국 관계의 돌발 변수로 떠오른 것이다. 베넷 총리는 애초 8월에 워싱턴을 방문해 바이든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하기 전에 국방부가 정착촌 확대를 승인할 것을 희망했다고 한다. 하지만 상황을 악화시키지 말라는 바이든 행정부의 태도에 당시 이런 계획이 유보된 것으로 전해졌다. <액시오스>는 블링컨 장관의 반대 의사에 대해 간츠 장관이 바이든 대통령의 입장을 고려해 정착촌 확대 규모를 축소했다는 설명을 했다고 전했다.

1967년 전쟁으로 이스라엘이 점령한 서안지구는 국제사회가 이스라엘 영토로 인정하지 않는 곳이다. 정착촌 건설은 서안지구와 가자지구에 팔레스타인 국가를 건설해 이스라엘과의 공존을 모색한다는 ‘2개 국가 해법’을 부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미국 국무부도 이번 조처가 “2개 국가 해법에 악영향을 준다”고 했다. 서안지구의 이스라엘 정착촌에는 현재 유대인 약 70만명이 사는데, 국제사회는 이들이 장래에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에 큰 장애물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은 “팔레스타인 땅을 훔치려는 이스라엘의 결정에 맞서달라”고 국제사회에 촉구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2018년 국제사회가 인정하지 않는 이스라엘 수도 예루살렘으로 미국대사관을 이전하는 등 노골적으로 이스라엘 편을 들었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이런 조처는 중동 평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기조를 갖고 있다. 미국 정부는 최근 예루살렘에 팔레스타인을 담당하는 영사관 재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 영사관은 트럼프 행정부가 폐지한 바 있다. 이스라엘은 바이든 행정부의 시도에 반발하고 있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