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노태우 전 대통령 국가장, 화해와 치유의 계기로 삼아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그제 영면에 든 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례가 국무회의 결정에 따라 국가장으로 치러진다.
전직 대통령의 장례가 국가장으로 진행되는 것은 2015년 서거한 김영삼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다.
그가 전두환 전 대통령과 함께 12·12 군사쿠데타를 주도했고, 5·18 광주민주화운동 유혈진압 과정에 적극 참여했다는 점은 그 무엇으로도 덮을 수 없는 과오다.
뇌물 추징과 5·18 책임을 모두 회피한 채 변명과 궤변으로 일관하는 전 전 대통령과는 다른 길을 걸은 셈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 언급대로 그에 대한 공과(功過)는 극명히 대비된다. 그가 전두환 전 대통령과 함께 12·12 군사쿠데타를 주도했고, 5·18 광주민주화운동 유혈진압 과정에 적극 참여했다는 점은 그 무엇으로도 덮을 수 없는 과오다. 그는 퇴임 후 구속 수감된 첫 대통령이 됐다. 12·12 군사반란과 5·18 유혈진압을 주도한 혐의로 징역 17년을, 2000억원대 뇌물수수 혐의로 징역 15년과 2628억원 추징금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그는 군부독재에서 문민정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대통령을 지냈고, 국민의 민주화 요구를 6·29선언으로 수용했다. 재임 시절 토지공개념에 입각한 경제정책을 추진했고, 냉전 해체기에 37개 공산권 국가와 수교하는 북방정책으로 외교 지평을 넓혔다. 1991년 남북 유엔 동시가입과 ‘남북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기본합의서’ 채택도 큰 성과로 꼽힌다.
지금까지 노 전 대통령은 15년 가까이 투병 생활을 이어오며 공개석상에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못했으나 굴곡진 삶을 정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5·18 유족에게 직접 사과는 하지 않았으나 아들 재헌씨가 광주를 찾아 여러 차례 용서를 빌었다. 추징금도 완납했다. 뇌물 추징과 5·18 책임을 모두 회피한 채 변명과 궤변으로 일관하는 전 전 대통령과는 다른 길을 걸은 셈이다.
과만 부풀려도, 공에 인색해서도 안 된다. 그는 어제 재헌씨가 공개한 유언에서 “모두 나의 무한책임”이라며 “저의 과오들을 용서해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그러나 5·18 관련 단체와 진보 정치인들은 국가장에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국가장법에 명시된 분향소 설치나 조기 게양도 하지 않을 방침이다. 이제 불귀의 객이 된 만큼 공은 공대로, 과는 과대로 그에 대한 평가는 냉정하되 분열로 치닫는 논쟁은 없어야 하겠다. 국가장 기간만이라도 서로 분노를 가라앉히고 화해와 치유의 시간을 갖는 게 바람직하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