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효과 톡톡히 본 구글·MS, 3·4분기 매출 급등

백주연 기자 2021. 10. 27. 14:2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최대 검색엔진 기업 구글과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힘입어 나란히 호실적을 기록했다.

2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구글의 3·4분기 매출액은 651억2,000만달러(약 76조원)로 전년대비 41% 증가했다.

구글의 광고 사업 매출액은 전년대비 43% 증가한 531억3,000만달러(약62조원)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년대비 매출액 구글 41%, MS 22% 증가
디지털 광고사업 및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 덕
구글 로고./EPA연합뉴스
미국 뉴욕의 마이크로소프트 회사 전경./AP연합뉴스
[서울경제]

세계 최대 검색엔진 기업 구글과 최대 소프트웨어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힘입어 나란히 호실적을 기록했다.

26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구글의 3·4분기 매출액은 651억2,000만달러(약 76조원)로 전년대비 41% 증가했다. 이는 14년 만의 최대치다. 순이익도 전년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210억3,000만달러(약 24조6,000억원)로 나타났다.

구글이 이같은 실적을 기록한 배경으로 검색과 지도, 유튜브 등을 포함한 디지털 광고 사업 매출 증가가 꼽힌다. 구글의 광고 사업 매출액은 전년대비 43% 증가한 531억3,000만달러(약62조원)으로 나타났다. 구글이 올해 캐나다의 전자상거래 업체 쇼피파이와 협력해 170만 중소상공인의 광고 구매와 검색 결과 표시를 단순화한 점이 최대 성장동력이 됐다.

애플이 지난 4월 사생활 보호 조치를 강화하면서 아이폰에서의 광고 효과를 측정하기 어렵게 했는데, 이 반사이익도 구글에 돌아왔다. 많은 브랜드가 구글로 광고비 집행을 옮겨서다. 세계 최대 동영상 공유사이트인 유튜브의 광고 매출도 43% 늘어난 72억1,000만달러(약 8조4,000억원)였다.

MS 역시 코로나19로 인한 매출 효과를 톡톡히 봤다. 재택근무와 원격수업이 확산하면서 MS의 각종 클라우드 서비스가 인기를 끈 덕분이다. MS는 올해 3·4분기 매출액이 453억달러(약 53조원)로 전년대비 22% 늘어났다고 밝혔다. 순이익은 48% 늘어난 205억달러(약 24조원)를 기록했다. 실제 MS의 '애저' 등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매출액이 전년대비 50% 증가했고, 이를 포함한 전체 MS 클라우드 사업 매출액은 207억달러(약 24조원)로 집계됐다.

백주연 기자 nice89@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