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우연 "누리호서 페어링 2개 모두 정상 분리..지상에서 확인"

박주영 2021. 10. 27. 12: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1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 발사 당시 위성 모사체(더미 위성)를 보호하는 덮개인 페어링이 정상 분리된 것이 지상에서 확인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장영순 발사체체계개발부장은 27일 누리호 동체에 탑재된 카메라 영상 공개와 함께 진행된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관계기관 협조를 받아 페어링이 분리되는 시점에 지상에 낙하물 2개가 떨어진 모습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누리호 탑재 카메라 공개.."3단 엔진 조기 종료 원인 분석 중"
발사되는 누리호 (서울=연합뉴스)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제작돼 지난 21일 오후 전남 고흥군 봉래면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 2010년 3월 개발사업이 시작된 누리호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km)에 투입하기 위해 제작됐다. 이날 발사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누리호의 3단에 1.5t 모사체 위성(더미 위성)을 탑재했다. [항공우주연구원 영상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지난 21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 발사 당시 위성 모사체(더미 위성)를 보호하는 덮개인 페어링이 정상 분리된 것이 지상에서 확인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장영순 발사체체계개발부장은 27일 누리호 동체에 탑재된 카메라 영상 공개와 함께 진행된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관계기관 협조를 받아 페어링이 분리되는 시점에 지상에 낙하물 2개가 떨어진 모습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날 공개된 영상은 분리된 페어링 2개 중 하나가 지상으로 떨어지는 모습을 담고 있다.

낙하하는 페어링 (대전=연합뉴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에 실린 위성 모사체(더미 위성)를 보호하는 덮개인 페어링이 지상으로 낙하하는 모습.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7일 누리호에 탑재된 영상 시스템으로 촬영한 1분 15초 길이의 누리호 비행 과정 편집 영상을 공개했다. 2021.10.2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jyoung@yna.co.kr

이와 함께 1단 엔진 정지와 분리, 2단 엔진 점화, 페어링 분리에 이어 3단 엔진 점화, 위성 모사체 분리까지 정상적으로 진행된 모습이 담겼다.

다만 위성 모사체는 고도 700㎞까지 올라가고도 목표 속도인 원운동에 필요한 초속 7.5㎞를 내지 못해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항우연은 위성 모사체가 지상으로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장 부장은 "1·2단 비행 과정은 예상 시퀀스대로 정상적으로 진행됐다"며 "3단 엔진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원래 연소시간보다 일찍 종료됐는데, 이는 카메라 시간대를 보고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누리호 1단 정상 분리 (대전=연합뉴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 1단이 정상적으로 분리돼 떨어지는 모습(오른쪽 아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7일 누리호에 탑재된 영상 시스템으로 촬영한 1분 15초 길이의 누리호 비행 과정 편집 영상을 공개했다. 2021.10.2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jyoung@yna.co.kr

다음 2차 발사 때 발사 장면 생중계가 가능한지를 묻자 "영상 촬영은 페어링이나 위성 분리 등 이벤트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인데, 아직 저희 발사체가 완벽하게 동작한다는 확신을 줄 수 없어 공개는 어렵다"며 "비행시험 단계라는 것을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답했다.

항우연은 현재 3단 엔진 조기 종료 원인을 밝히기 위한 비행시험 데이터 기초 분석을 진행 중이며, 분석이 끝나는 대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발사조사위원회를 구성할 방침이다.

jyoung@yna.co.kr

☞ 빈소 지킨 딸 노소영…조문 온 최태원과 '조우'
☞ "악, 이게 뭐야"…아파트단지 배수구서 악어 기어나와
☞ 빨리 산에 오르려고 개인 펜션 부지로 들어갔다가…
☞ '집에 현금 있다' 속여 강간하려다 발차기 한방에 녹다운
☞ 의자 집어던지며 "X 같은 X"…밥 먹던 손님 왜 행패?
☞ 말싸움 끝에 부인상 중인 매제 때려 숨지게 한 60대
☞ 가수 박군 성추행 의혹…"사실무근" 법적대응 나서
☞ '음주측정 거부·경찰관 폭행' 래퍼 장용준 구속기소
☞ 노태우 前대통령 부고 소식에 전두환 前대통령 반응은…
☞ "죽어도 못 보내" 새끼 잃은 어미 개의 절규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