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명 중 1명 수돗물 마신다..69.5%는 수돗물 만족

주문정 기자 2021. 10. 27.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 3명 가운데 1명은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결과, 우리 국민 3명 중 1명(36%)은 물을 먹을 때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먹고 있다고 응답했다.

수돗물을 먹고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먹는 수돗물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 69.5%, '보통' 27.3%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경부,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첫 공개..노후 상수도관 교체·스마트 관망관리 구축

(지디넷코리아=주문정 기자)국민 3명 가운데 1명은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수돗물을 먹는 응답자의 69.5%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해 3월 신설된 ‘수도법’에 따라 올해 처음으로 실시한 ‘2021년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사진=Pixabay

실태조사는 전국 161개 지자체의 7만2천460가구주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조사 대상자들은 수돗물 먹는 방식과 수돗물에 대한 만족도를 포함, 총 38문항에 대해 응답했다.

조사 결과, 우리 국민 3명 중 1명(36%)은 물을 먹을 때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먹고 있다고 응답했다.

차나 커피를 마실 때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사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41.6%이며, 밥이나 음식을 조리할 때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67%로 나타났다.

물을 먹을 때 ‘수돗물에 정수기를 설치해서’ 먹는 비율은 49.5%이며, ‘먹는 샘물(생수)을 구매해서’ 먹는 비율은 32.9%로 확인됐다.

먹는 수돗물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단위: %)
물 먹는 방법별 평소 생각 비교(단위: %)

수돗물을 먹고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먹는 수돗물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 69.5%, ‘보통’ 27.3%로 나타났다.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 먹는 것에 대한 평소 생각은 ‘편리하다(79.3%)’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경제적이다(76.5%)’ ‘수질을 믿을 수 있다(65.6%)’ 등의 순이었다.

수돗물 만족도 향상을 위해 지금보다 더욱 강화돼야 할 제도와 정책으로는 ‘노후 수도관 교체(27.8%)’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원수(상수원)의 수질관리(27.3%)’ ‘정수장 시설의 현대화(11.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의 자세한 내용을 담은 결과보고서를 환경부 홈페이지에서 28일부터 게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수돗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자체와 함께 1단계 노후 상수관망 정비 사업(관망 112개소, 정수장 34개소)을 추진하고, 추가 사업 발굴과 추가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2022년까지 161개 전체 지자체에 스마트 관망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수돗물 수질을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사고 시 이물질 자동배출 등 스마트한 수돗물을 관리체계를 갖춘다.

수돗물 만족도 향상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제도 및 정책(단위: %))

2014년부터 3년간 스마트 관망관리 시스템을 시범 구축한 경기 파주시는 이번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에서 물을 먹을 때 ‘수돗물을 그대로 먹거나 끓여서’ 먹는 비율이 49.5%로 높게 나타났다.

또 정수장에서 깨끗하게 생산된 수돗물을 가정 수도꼭지까지 그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주택 내 노후 옥내급수관 개선사업도 실시한다. 우선 20개 지자체 취약계층 8천여 가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김동구 환경부 물통합정책관은 “올해 처음 실시한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에 정성으로 응답한 국민께 감사드린다”며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한 국민의 수돗물에 대한 의견을 토대로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 정책을 적극 추진해 탄소중립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주문정 기자(mjjoo@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