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차이나텔레콤 면허 취소.."미중 긴장 다시 고조"

방성훈 2021. 10. 27. 10: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국가안보 위협을 우려해 중국 3대 통신사 중 한 곳인 차이나텔레콤의 미국 면허를 취소했다.

당시 FCC 역시 차이나텔레콤 미국 지사가 "독립적인 사법 감시를 받지 않고 중국 정부의 요청에 따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같은 의견을 수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블룸버그도 "차이나텔레콤이 미국에서 많은 사업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시장에서 아예 퇴출하는 것은 화웨이를 포함해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거대 기술기업들의 다음 행보에 의미심장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연방통신위, 미국 내 사업 면허 만장일치 취소
"中정부 통제받고 있어..국가안보 위협 우려"
사진=AFP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이 국가안보 위협을 우려해 중국 3대 통신사 중 한 곳인 차이나텔레콤의 미국 면허를 취소했다. 이에 따라 미중 간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이날 국가안보 위협 우려 가능성을 근거로 차이나텔레콤의 미국 내 사업 허가권을 만장일치(찬성 4표·반대 0표)로 취소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20년 가까이 통신 서비스 사업을 해온 차이나 텔레콤은 60일 이내에 미국 내 서비스 제공을 중단해야 한다.

차이나텔레콤은 중국 최대 유선통신사다. 세계 110개국에서 수억명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만 3억 70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 이동통신 시장에서도 차이나 모바일, 차이나 유니콤과 함께 3대 통신사로 꼽힌다.

차이나텔레콤이 사실상 중국 정부의 통제 하에 있다는 게 FCC의 판단이다. 제시카 로젠워셀 FCC 의장 대행은 “우리 기록에 따르면 차이나텔레콤은 중국 국영기업 자회사로 운영되고 있는 게 분명하다”며 “잘못된 라우팅된 트래픽을 포함해 중국 정부가 미 통신에 접근, 저장, 방해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미 통신 네트워크에 실질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앞서 미 법무부, 국토안보부, 국방부, 국무부, 상무부, 무역대표부(USTR) 등은 지난해 4월 FCC에 차이나텔레콤의 미국 지사에 대한 사업 면허를 취소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당시 FCC 역시 차이나텔레콤 미국 지사가 “독립적인 사법 감시를 받지 않고 중국 정부의 요청에 따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같은 의견을 수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차이나텔레콤은 이번 FCC 결정에 대해 “실망스럽다”며 “우리는 고객에게 계속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가능한 모든 옵션을 추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전 정부에 이어 조 바이든 현 정부 역시 중국 기술기업들에 대한 견제를 지속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 싱크탱크인 미국안보센터(CNA)의 기술 및 국가안보 프로그램 책임자 마틴 레이저는 “대통령이 누가 됐든 미국에서 사업하는 중국 기술기업의 위험에 대해 미국이 지속적으로 우려하고 있다는 광범위한 메세지를 베이징에 보낸 것”이라며 “매우 중요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도 “차이나텔레콤이 미국에서 많은 사업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시장에서 아예 퇴출하는 것은 화웨이를 포함해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거대 기술기업들의 다음 행보에 의미심장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중국은 현재 대만과 홍콩, 남중국해,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의 기원 등 다양한 사안들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며 이번 결정으로 앞으로 미중 긴장이 더욱 고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방성훈 (ba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