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ELS·DLS 발행잔액 80조.. 7년 만에 최저치

안서진 기자 2021. 10. 27. 06: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 상반기 증권사에서 발행한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이 지난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이 80조2000억원으로 전년동기(107조6000억원) 대비 27조4000억원(25.4%) 감소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DLS(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9조5000억원으로 전년동기(10조5000억원) 대비 1조원 감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 증권사에서 발행한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이 지난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사진=이미지투데이
올 상반기 증권사에서 발행한 파생결합증권 발행 잔액이 지난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이 80조2000억원으로 전년동기(107조6000억원) 대비 27조4000억원(25.4%)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상반기 이후 감소 추세가 지속하고 있다.

같은 기간 파생결합증권 발행액(45조원)과 상환액(52조2000억원)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2조9000억원, 11조4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주요 지수 상승세 등을 바탕으로 ELS 상환액(42조6000억원)이 발행액(35조6000억원)을 넘어서며 발행잔액 감소 추세가 지속됐다.

자료=금융감독원

ELS 발행액은 전년동기(31조6000억원) 대비 4조원(12.6%) 증가했지만 코로나19 이전보다 낮은 수준이다.

올 2분기 발행액만 보면 16조8000억원으로 전분기(18조8000억원) 대비 10.8% 감소했다. 이는 기준가격 상승과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제도 시행 등으로 ELS 수요가 감소한 탓이다. 정부는 지난 5월부터 판매·계약 체결 과정에서 녹취 및 2영업일 이상 숙려기간 보장 등을 도입했다.

올 상반기 중 ELS 상환액은 42조6000억원으로 전년동기(24조2000억원) 대비 18조4000억원이 증가했다. 주요 주가지수 상승세를 바탕으로 2019~2020년 상반기에 발행된 상품이 조기상환되면서 코로나 이전과 근접한 수준(38조8000억원)으로 조기상환금액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DLS(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9조5000억원으로 전년동기(10조5000억원) 대비 1조원 감소했다. 이 중 사모 상품 비중은 88.3%로 2019년 하반기(66.9%)부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DLS 상환액은 9조6000억원으로 전년동기(16조6000억원) 대비 7조원 감소했다.

상반기 ELS 투자수익률은 3.1%(연평균)로 전년동기(3.3%) 대비 0.2%포인트 감소했다. DLS 수익률도은 0.2%(연평균)로 전년동기(0.9%) 대비 0.7%포인트 감소했다.

증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손익은 5865억원으로 지난해 하반기에 이어 흑자를 지속했다. 2분기 중 손익은 2936억원으로 직전분기(2929억원)에 이어 흑자를 기록했다.

6월말 낙인(원금손실 기준선)이 발생한 파생결합증권 규모는 2318억원으로 직전분기말(8208억원)대비 71.8% 감소했다. 이 중 62.3%(1444억원)은 올해 내 만기가 도래한다.

향후 주의해야 할 부분은 홍콩 H지수(HSCEI)가 올 2월 연중 최고점(1만2229포인트) 기록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9월말 8726포인트까지 하락했단 점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반기 중 발행된 홍콩H지수 편입 ELS의 조기상환이 지연되는 등 투자자 손실 위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이라며 "홍콩 H지수 편입 ELS에 대한 자체 헤지 비율이 높은 증권사의 경우 자체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유도하고 잠재적 위험 요인에 대해 모니터링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S 주요뉴스]
"넘치는 볼륨감"… 미스 인터콘티넨탈 2위의 위엄
"아슬아슬 비키니 "… 서동주, 글래머 끝판왕이네
김선호 측 "디스패치 보도, 드릴 말씀 없다"
비대면 수업하는데 성관계 소리가… 학교 '발칵'
"41.3kg인데 볼륨감이?"… 현아, 수영복 자태
조민아, 자가면역질환→ 1년 시한부 선고?
"충분히 힘들어했다"…김선호 인터뷰 재조명
효민, 깜찍 섹시 시크!… 미니스커트 찐이네
권민아 친언니 갈등→ 3주 만에 올린 SNS 게시물?
최지우, 딸바보 인증… "신애라도 귀엽다고"

안서진 기자 seojin0721@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