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고려한 예약 방식 필요해[내 생각은/이장구]

이장구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2021. 10. 27.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북 군산 신시도 여행을 다녀왔다.

그곳 관리사무소에 물었더니 예약은 온라인으로만 할 수 있다고 한다.

휴양림은 도시 생활에 찌든 현대인에게 잠시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곳이다.

휴양림 예약 담당자에게 당부해 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북 군산 신시도 여행을 다녀왔다. 해변 전망이 좋은 곳에 휴양림이 조성돼 며칠간 쉬어 갔으면 싶은 충동이 생겼다. 그곳 관리사무소에 물었더니 예약은 온라인으로만 할 수 있다고 한다. 허탈한 마음으로 나올 수밖에 없었다. 노인들에게는 온라인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과거에도 이런 경험을 해본 적이 있다. 전남 화순적벽을 관광하려고 예약을 시도했으나 실패만 반복하다가 포기했다. 노인들이 손놀림이 빠른 젊은이들을 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선착순 온라인 예약의 경우 시작과 동시에 마감이 되기 일쑤다. 전국에 100개가 넘는 휴양림이 성업 중이란 소문이다. 휴양림은 도시 생활에 찌든 현대인에게 잠시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곳이다. 휴식은 젊은 사람도 필요하지만, 우리 노인 세대들도 경치 좋고 시설 좋은 곳에서 잠시 쉬어보고 싶다. 휴양림 예약 담당자에게 당부해 본다. 전화나 한가한 평일만이라도 노인들에게 예약을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 달라고. 휴양림이 결코 MZ세대(밀레니얼+Z세대)들의 전유물은 아니지 않은가?

※동아일보는 독자투고를 받고 있습니다. 사회 각 분야 현안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이름, 소속, 주소, 연락처와 함께 e메일(opinion@donga.com)이나 팩스(02-2020-1299)로 보내주십시오. 원고가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

이장구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