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들, 노태우 별세 타전 "첫 직선제 대통령이지만..논란 많아"

이지윤 기자 2021. 10. 26. 17: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요 외신들이 노태우 전 대통령 별세 소식을 긴급 타전했다.

노 전 대통령이 직선제를 통해 당선된 첫 대통령이라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군 출신으로서 전두환 전 대통령과 함께 12·12 군사 반란(1979년)을 주도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많았다는 점도 적었다.

외신들은 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표적 업적으로 서울올림픽(1988년) 개최와 북방 정책 등을 꼽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13대 대통령을 지낸 노태우 전 대통령이 26일 지병 악화로 별세했다. 향년 89세. 고인은 1987년 6월 항쟁 직후 집권 민정당(민주정의당) 대선 후보로서 '6·29 선언'을 발표해 대통령 직선제를 받아들인 뒤 그해 12월 13대 대선에서 당선된, 대통령 직선제 도입 후 첫 대통령이었다. 사진은 1991년 새만금간척종합개발 기공식에서 연설하는 노 전 대통령 모습.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 캡처) 2021.10.26./사진=뉴스1

주요 외신들이 노태우 전 대통령 별세 소식을 긴급 타전했다. 노 전 대통령이 직선제를 통해 당선된 첫 대통령이라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군 출신으로서 전두환 전 대통령과 함께 12·12 군사 반란(1979년)을 주도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많았다는 점도 적었다.

영국 로이터통신은 쿠데타의 공모자였던 노 전 대통령이 민주화 이후 국민이 뽑은 첫 대통령이 됐지만, 이후 반역과 부패 혐의로 징역형을 받아 불명예스럽게 정치 생활을 끝냈다고 전했다.

미국 AP통신은 노 전 대통령이 쿠데타를 일으킨 핵심 인물이라고 평가하면서, 쿠데타와 이후 1980년대에 나타났던 민주화 운동에 대한 탄압은 한국 현대사에 있어 가장 어두운 시기였다고 지적했다.

프랑스 AFP통신은 수백명이 희생된 광주민주화운동(1980년)을 탄압하는 데 노 전 대통령이 가담했다고 썼다.

외신들은 노태우 전 대통령의 대표적 업적으로 서울올림픽(1988년) 개최와 북방 정책 등을 꼽았다.

일본 NHK방송은 "서울올림픽대회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고, 일본 교도통신은 "북방 정책으로 불리는 외교로 냉전 시대 북한의 우방인 중국과 옛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USSR, 현 러시아)에 다가갔다"고 적었다.

중국 관영 CCTV는 "한중 양국 수교를 실현한 대통령"이라고 했다.

한편 노 전 대통령은 이날 향년 89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그는 천식과 함께 2008년부터 희소병인 소뇌위축증을 앓아 서울대병원에서 오랜 기간 진료를 받아왔다. 최근 병세가 악화돼 서울대병원에 입원해 집중 치료를 받았지만 회복하지 못하고 이날 숨을 거뒀다.

[관련기사]☞ 김선호 '1박 2일'서 "얼마 전 미역국 끓였다"…과거 발언 재조명김선호 전 여친 폭로글, 거짓 의혹에…소속사 입장은?조민아, 만난지 3주만에 혼인신고…남편 "2번 보고 결혼 생각"'오징어게임' 알리역 먼저 제안 받았던 필리핀 배우, SNS에 올린 글또 훼손된 전자발찌…'30여회 전과' 성범죄자 도주
이지윤 기자 leejiyoon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