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정보기관, 아마존과 계약.."기밀 다루는데 안보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 정보기관 세 곳이 미국 아마존의 클라우드 부문 자회사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계약을 맺고 첩보활동을 위한 정보분석과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받기로 했다.
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아마존은 영국의 3대 정보기관인 정보통신본부(GCHQ) 보안부(M15) 비밀정보부(M16)에 최고 수준의 안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약을 수주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국 정보기관 세 곳이 미국 아마존의 클라우드 부문 자회사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계약을 맺고 첩보활동을 위한 정보분석과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받기로 했다. 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아마존은 영국의 3대 정보기관인 정보통신본부(GCHQ) 보안부(M15) 비밀정보부(M16)에 최고 수준의 안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약을 수주했다. 국방부와 같은 다른 정부 기관도 이들 3대 정보기관과 합동작전을 수행할 경우 아마존 클라우드를 사용하게 된다.
업계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10년 동안 5억~10억파운드(약 8024억~1조605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계약에 정통한 복수 관계자들은 “AWS는 미국 국적 기업이지만 모든 영국 기관의 데이터는 영국 내에서만 다뤄진다”고 전했다. 아마존은 해당 클라우드 플랫폼에 올라온 어떤 정보에도 접근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GCHQ 산하의 국가사이버안보센터 대표를 지낸 시아란 마틴은 “이번 계약으로 그동안 수개월 가까이 걸리던 데이터 분석이 몇 분 안에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최고 국가기밀을 다루는 데 외국 기술기업인 아마존에 의존하는 것은 주권 침해 우려를 촉발할 수 있다”고 FT는 지적했다. 한 정보보안 전문가는 “역사적으로 안보기술은 항상 내부에서 만들어져 관리돼 왔다”고 비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곧 품절 된다 보이면 사라"…일본서 난리 난 한국 음료
- 쯔양 "독도는 한국 땅" 먹방에…日 네티즌 줄줄이 구독 취소
- "370억에 사들인 회사, 1주일에 400억씩 벌어온다"
- "월수입 평균 300만원 이상…'메타버스 크리에이터' 전망 밝아요"
- "제네시스·SUV 덕에 살았다"…적게 팔았다던 현대차에 벌어진 일
- G사 명품 모자 쓴 추성훈, 명품 같은 딸 추사랑 "생일 축하해" [TEN★]
- '사업가♥' 이혜영, 한강이 보이는 엄청난 작업실...친구 초상화 완성해야지[TEN★]
- 차태현 "강남에 사옥 지은 유희열, 이제 순수한 노래 못 만들어" ('다수의 수다')
- 한혜진 "마흔 전 결혼하면 이혼 아니면 사별…연애운 나쁘다" ('리더의 연애')
- 김선호 지인 "여친 중절 수술 후 미역국 끓여…부모도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