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없앤다더니..800만명 넘었다

강진규 2021. 10. 26. 1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800만 명을 넘어섰다.

월급을 받는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800만 명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감안해 2019년만 두고 비교해도 비정규직 근로자가 58만 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년 새 64만명 늘어 '사상 최대'
임금 근로자 10명 중 4명 꼴
정부, 노인 단기알바 양산한 탓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800만 명을 넘어섰다. 월급을 받는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을 없애겠다던 문재인 정부의 정책 목표와 달리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오히려 역대 최대 규모로 치솟고 있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1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806만6000명이었다. 작년 동월 대비 64만 명 증가했다.

비정규직 근로자가 800만 명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재인 정부 첫해인 2017년 8월 657만 명이던 비정규직 근로자는 임기 말인 올해 150만 명가량 늘었다. 통계청은 이와 관련해 “통계 기준이 개편돼 2018년 이전 자료와 2019년 이후 자료는 비교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를 감안해 2019년만 두고 비교해도 비정규직 근로자가 58만 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전체 임금근로자 2099만2000명 중 38.4%에 해당한다. 작년 36.3%에서 2.1%포인트 늘었다. 정규직 근로자는 올해 1292만7000명이었다. 작년에 비해 9만4000명 줄었다.

비정규직이 크게 늘어난 것은 정부가 노인 단기 일자리를 대거 공급한 것과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연령별 비정규직 규모를 보면 60세 이상이 가장 많았다.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213만2000명에서 240만3000명으로 27만1000명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2만8000명), 교육서비스업(8만5000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6만6000명)에서 증가폭이 컸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