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한국건축문화대상-계획건축물 최우수상] 소나무 파크

김흥록 기자 2021. 10. 26. 16: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종로구 도심에는 잃어버린 공간이 있다.

최 씨는 송현동 일대를 관광과 상업기능이 일어나는 동시에 역사와 문화까지 간직해 시민들이 다양한 활동을 벌일 수 있는 공간으로 봤다.

도심 빈 공간인 송현동을 평면 공간이 아니라 '부지의 양 대각선 끝을 손으로 잡고 끌어올리면 어떨까'하는 상상력을 바탕으로 입체적인 형태의 도시 공원을 계획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송현동 부지 위한 뉴노멀 도시공원
송현동 부지 내에 새로운 형태의 도시공원 조성을 제안한 ‘소나무 파크’의 모형.
[서울경제]

서울 종로구 도심에는 잃어버린 공간이 있다. 송현동 48-9번지다. 경복궁과 덕성여고 사이에 있고, 서울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이나 안국역과도 가깝지만 서울시의 도시계획상 이곳은 여러 차례 개발 시도가 무산돼 현재는 풀과 나무만 무성한 도심 속 공터다. 담벼락에 막혀 시민들이 드나들지도 못하는 곳이다. 광복 이후 1997년까지 주한미군대사관 직원 숙소 부지였지만 이후 땅주인은 정부와 여러 회사를 거쳤다. 한옥 호텔이나 융합복합센터 등의 건립을 추진했지만 무산됐다. 현재 미술관, 도시 공원 등 사회 각층에서 활용 아이디어가 쏟아지고 있다. 그만큼 입지가 뛰어나다는 의미기도 하다.

경기대학교의 최형록 씨는 송현동 땅을 도시 공원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계획의 이름은 ‘소나무 파크’다. 최 씨는 송현동 일대를 관광과 상업기능이 일어나는 동시에 역사와 문화까지 간직해 시민들이 다양한 활동을 벌일 수 있는 공간으로 봤다. 최 씨가 이곳을 여러 시민들이 함께 누리는 도시공간으로 제안한 이유다.

최 씨가 제안한 형태는 뉴노멀 도시 공원이다. 도심 빈 공간인 송현동을 평면 공간이 아니라 ‘부지의 양 대각선 끝을 손으로 잡고 끌어올리면 어떨까’하는 상상력을 바탕으로 입체적인 형태의 도시 공원을 계획했다. 바닥은 물론 평평한 그대로이며 그 위로 여러 층의 곡선형 보행로와 공간을 쌓는 식이다. 이를 테면 시민들이 진입과 출입을 하는 부분은 바닥층으로 두고 이곳에서 출발해 양 끝으로 상승하는 보행로로 향할 수 있는 식이다. 걷다가 더 높은 층의 보행로로 옮겨갈 수 있고, 또 내려갈 수 있는 구조를 제안했다. 그저 땅 위 높이에서 거닐던 공원에 입체감을 부여해 도시 공원을 걸으면서 3~4층 높이에서 도심 풍경을 바라볼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최씨는 “굳이 공원에 가지 않더라도 인근 오피스 등에서 공원을 바라보면 심리적, 시각적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으며 공원에 진입하면 그 공간감이 더해져 더욱 풍요로운 도시 풍경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흥록 기자 rok@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