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협박 얼마나 심했으면..앰네스티 홍콩지부 폐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적 인권단체인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이 중국 당국의 탄압에 못이겨 홍콩 지부 폐쇄를 결정했다고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러나 2019년 민주화 시위를 계기로 중국이 보안법을 제정하면서 야당 정치인들을 대량 체포하고 반대파를 진압하는 등 인권단체를 탄압하자 결국 철수 결정을 내렸다.
홍콩 보안법 발효 이후 홍콩에 있는 35개 이상의 시민단체 및 인권단체가 활동을 접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세계적 인권단체인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이 중국 당국의 탄압에 못이겨 홍콩 지부 폐쇄를 결정했다고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앰네스티는 홍콩에 40년 동안 지부 사무실을 운영했었다.
그러나 2019년 민주화 시위를 계기로 중국이 보안법을 제정하면서 야당 정치인들을 대량 체포하고 반대파를 진압하는 등 인권단체를 탄압하자 결국 철수 결정을 내렸다.
앰네스티는 홍콩 보안법이 발표된 이후 홍콩에서 철수한 최초의 주요 국제 비정부 기구 중 하나가 될 전망이다.
홍콩 보안법 발효 이후 홍콩에 있는 35개 이상의 시민단체 및 인권단체가 활동을 접었다.
앰네스티 국제이사회 의장인 안줄라 미야 싱 바이스는 “보안법이 인권단체가 정부의 보복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유롭게 활동하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보안법 제정으로 시민단체에 대한 탄압이 더욱 강화되고 있어 어떤 활동이 형사처벌로 이어질지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홍콩 민주화 운동을 말살하기 위해 2020년 6월 보안법을 제정했으며, 법을 위반하면 최고 종신형에 처해진다.
sinopar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LA산불 진압에 죄수 900명 투입…"하루 불 끄면 이틀 감형"
- 창밖 고개 내민 택시승객, 시속 5㎞ 급정거에 "악" 보상요구[영상]
- 20대 시내버스 기사 "실수령 월 400만원, 명절 수당 땐 450도"
- 최민환 "하루 18시간, 율희 수면욕 탓 이혼"…매니저는 "영양제나 사주지"
- "임신 중 가슴 빤히 보는 남편 'XX 좀 커졌어?'…수치스럽다" 시끌
- 걸그룹 아내 두고 '불륜' 야구선수 "아내와 대화로 풀어…야구로 보답"
- 김종민, "결혼운·자식운 동시에…기러기아빠 될 것" 점사에 '깜짝'
- 김희철 "19년 전 교통사고로 장애인 판정…인정하기 싫어 스티커 거절"
- "20세 아들, 커플여행 보내도 될까" 父 걱정…누리꾼 "피임이나 잘 가르쳐라"
- 서정희 "서세원과 이혼 후 불순한 남자들 접근…재혼 생각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