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침묵 깬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 할머니..간과해선 안돼"

강민경 기자 2021. 10. 26. 05: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가운데 최초로 피해 사실을 폭로한 김학순 할머니의 일생을 조명하는 부고 기사를 게재해 눈길을 끌고 있다.

NYT는 25일(현지시간)자 기사에서 1997년 12월 폐질환으로 별세한 김 할머니의 생애를 되짚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다시금 부각시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일 오전 시청 앞 서울광장에 설치된 위안부 할머니 사진과 생전 남긴 말씀을 담은 '아트월'에 시민들이 응원의 메시지를 붙이고 있다. 아트월에는 최초로 위안부 증언을 한 김학순 할머니와 일본정부의 사과를 촉구하는 운동을 벌이다 세상을 떠난 황금주, 강덕경 할머니의 얼굴 사진이 걸려있다. 2015.8.12/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가운데 최초로 피해 사실을 폭로한 김학순 할머니의 일생을 조명하는 부고 기사를 게재해 눈길을 끌고 있다.

NYT는 25일(현지시간)자 기사에서 1997년 12월 폐질환으로 별세한 김 할머니의 생애를 되짚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다시금 부각시켰다.

성폭력 피해자들이 수치심 속에 침묵을 지키던 시절인 1991년 8월, 김 할머니는 용기를 내어 일본군 위안부 시절 겪은 섬뜩한 일들을 낱낱이 고발하며 피해자들의 참상을 알렸다.

김 할머니는 같은 해 "(일본은) 그런 일이 없었다고 말하지만 나는 모든 것을 이겨냈고, 그 일이 일어났다는 산증인"이라며 "이런 항의를 일본인들에게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 매체는 김 할머니의 첫 기자회견을 회고하며 "그의 강력한 설명은 일본의 많은 정치 지도자들이 수십년간 부인해 온 역사에 생생함을 더했다"고 평가했다.

1998년 보고서에서 일본군의 위안소 운영을 반인륜 범죄로 규정한 게이 맥두걸 전 유엔 특별보고관은 "내가 작성한 어떤 글도 30년 전 김 할머니가 한 직접 증언이 미친 영향력에 근접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일관계 전문가인 앨릭시스 더든 미 코네티컷대 역사학 교수는 "김 할머니는 20세기의 가장 용감한 사람들 중 하나"라며 "그의 첫 기자회견 덕에 역사학 연구자들이 (일본군 위안부와 관련된) 문서 증거를 발굴해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NYT는 한국이 지난 2018년 김 할머니의 첫 회견일인 8월14일을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지정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김 할머니는 여생 동안 일본 정부에 위안부에 대한 법적 책임과 보상을 요구하며 끊임없는 활동을 벌였지만, 소원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NYT는 김 할머니가 한국 온라인 매체와의 생애 마지막 인터뷰에서 "꼭 110살이나 120살까지 살려고 한다"고 발언한 것도 기사에 실었다.

김 할머니의 부고 기사는 '간과된 사람들'(Overlooked) 시리즈로 NYT 지면에 실렸다. 이 시리즈는 1851년부터 주목할 만한 인물이지만 조명받지 못하고 사망한 이들의 삶을 되짚는 부고 기사를 다룬다.

past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