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편제' '춘향뎐' 제작 故이태원 오늘(26일) 발인..최민식 조승우 오정해 조문[종합]

배효주 2021. 10. 26. 05: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군의 아들' '서편제' '춘향뎐' 등을 제작한 한국 영화계 거장, 이태원 태흥영화 대표가 영면에 든다.

'어우동', '뽕', '기쁜 우리 젊은 날', '장군의 아들', '경마장 가는 길', '화엄경', '서편제', '태백산맥', '축제', '세기말', '춘향뎐', '취화선' 등을 제작하며 1980~2000년대 한국 영화 부흥을 이끌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故이태원 태흥영화 대표
왼쪽부터 안성기, 최민식, 오정해, 배성우

[뉴스엔 배효주 기자]

'장군의 아들' '서편제' '춘향뎐' 등을 제작한 한국 영화계 거장, 이태원 태흥영화 대표가 영면에 든다.

故이태원 대표는 지난해 7월 뇌출혈로 쓰러진 후 병원에서 치료에 전념했으나, 지난 10월 24일 서울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향년 83세.

발인은 이날 오전 엄수된다. 유족은 이한숙 여사(84), 아들 이철승(60) 씨, 이효승(58) 씨, 이지승(51) 씨, 딸 이선희(61) 씨다.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에 마련된 빈소에는 고인의 작품에 출연했던 배우는 물론 인연이 깊은 여러 영화인들이 찾아와 마지막 인사를 건넸다. 최민식, 안성기, 박상민, 오정해, 조승우, 배성우, 김태훈, 신현준 등이 찾았다.

故이태원 대표는 1983년 태흥영화사를 설립한 이래 '무릎과 무릎사이'부터 '하류인생'까지 총 36편의 영화를 제작했다. '어우동', '뽕', '기쁜 우리 젊은 날', '장군의 아들', '경마장 가는 길', '화엄경', '서편제', '태백산맥', '축제', '세기말', '춘향뎐', '취화선' 등을 제작하며 1980~2000년대 한국 영화 부흥을 이끌었다.

특히 고인이 제작한 '아제아제 바라아제'는 모스크바 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서편제'는 한국 영화 최초 서울 관객 100만 명을 돌파한 작품이자 상해 국제영화제에서 감독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또한 '화엄경'은 베를린 국제 영화제 알프레드바우어상 수상작이며, '춘향뎐'은 한국 영화 최초 칸 국제영화제 장편 경쟁 부문에 초청받는 영예를 누렸다. '취화선'은 한국 영화 최초 칸 국제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故이태원 대표는 이처럼 한국 고유의 정서와 전통을 녹인 작품들을 뚝심있게 제작해왔다. 태흥영화 대표를 넘어 충무로의 거목 프로듀서로서 우리나라 영화계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했다. 이에 1993년 옥관문화훈장과 2003년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1988년에는 영평상 특별제작자상, 1994년에는 대종상 영화발전공로상을, 2003년에는 백상예술대상 특별상을 수상했다. 이외에도 2002년 춘사나운규영화예술제 공로상, 2014년 영화제작가협회 공로상의 영예를 안았다.

뉴스엔 배효주 hyo@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