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인도네시아로 간 정의선, 전기차 전환이 기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5일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카르타 JI엑스포센터에서 개최한 전기차 로드맵 발표 행사에 참석했다.
정 회장은 "인도네시아 전기차 생태계 조성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인도네시아는 2040년부터 전기오토바이, 2050년부터 전기차에 한해서만 판매를 허용하는 강력한 친환경차 정책을 펴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 정책에 맞춰 내연기관차량이 아닌 전기차 등 친환경차에 승부를 거는 게 바람직해 보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차 텃세 넘어서야
인도네시아는 자동차산업 측면에선 매력적인 곳이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이던 지난해를 빼곤 매년 100만대 이상의 신차가 팔렸다. 인구는 2억7600만명에 달하지만 자동차 보급률은 10명당 1대 정도다. 친환경 정책도 추진 중이다. 2025년 전 세계 100만대 전기차 판매가 목표인 현대그룹으로선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인도네시아 현지생산 차량은 아세안 자유무역협정으로 관세 혜택도 볼 수 있다.
미래성장성은 높지만 시장환경은 만만치 않다. 정 회장이 대통령을 만나고 정부 인사들에게 전기차와 부품 생산, 판매 등의 협조를 요청하는 것은 경쟁이 치열해서다. 인도네시아는 일본 완성차 메이커들만의 시장이다. 올 들어 7월 현재까지 도요타가 31.3%로 시장점유율 1위다. 점유율 5위까지 일본 기업들이다. 일본 기업들의 전체 시장 점유율은 95%에 이른다. 현대차는 기아와 합쳐도 0.7% 정도다. 중국도 저가 전기차를 현지에서 생산·판매한다. 일본이 장악한 시장에 한국, 중국이 뛰어든 형국이다.
인도네시아 시장 확대 해법은 일본의 텃밭 수성 전략에서 빈틈을 찾아야 한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인도네시아에서 한국과 중국이 친환경차로 속도를 내고 있다"며 "일본이 과거 가전과 스마트폰에서 밀렸던 상황이 재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인도네시아는 2040년부터 전기오토바이, 2050년부터 전기차에 한해서만 판매를 허용하는 강력한 친환경차 정책을 펴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 정책에 맞춰 내연기관차량이 아닌 전기차 등 친환경차에 승부를 거는 게 바람직해 보인다. 일본차의 품질, 중국차의 가격과 경쟁에서 승리하는 게 관건이다. 인도네시아에서 교두보를 마련하면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되는 아세안 시장도 잡을 수 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업가 3명 동시에 만났다"..신정환, 女 연예인 성접대 폭로 '충격'
- '김동성 부인' 인민정 "집에 압류 딱지 붙기도…건설현장서 열심히 일해"
- 오윤아 "내게 대시했던 16세 연하남, 방송 이후 연락 와"
- 김미려 '사모님' 잘나가도 돈 못벌었다…"매니저 몇명이 빼돌려"
- 김종인 "尹과 절연해야…한동훈만이 민주당 이길 후보"
- "김종민 아내 사진 왜 올려"…인순이, 결혼식 참석샷 '빛삭'
- "10년 키웠는데 내 아이 아니다"..주말 부부 아내의 문란한 취미 '충격' [헤어질 결심]
- “이재명 아들 아니야” 李캠프, ‘도봉역 벤츠 난동’ 허위정보 유포 고발한다
- 20세 최연소 사시 합격자, 8년 다닌 김앤장 그만두고 선택한 길은?
- 日 배우, 실종 3개월 만 숨진 채 발견…"정신질환 앓고 행방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