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고장난 라디오처럼 자화자찬..달나라 대통령"(종합)

이은정 2021. 10. 25. 16: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야권은 25일 문재인 대통령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 시정연설에 대해 "고장 난 라디오처럼 자화자찬을 틀어댈 수 있는가"라며 혹평했다.

허은아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아예 '복세편살(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아가자)'이라는 신조어를 이 정권의 콘셉트로 잡은 모양"이라며 "국민들은 제발 정권교체를 해달라고 아우성인데, 대통령은 오늘도 과거를 미화하기 바빴다"고 비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 하는 문재인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2022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는 동안 국민의힘 의원들 자리에 대장동 개발사업 특검 촉구 손팻말이 놓여있다. 2021.10.25 [국회사진기자단] je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야권은 25일 문재인 대통령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 시정연설에 대해 "고장 난 라디오처럼 자화자찬을 틀어댈 수 있는가"라며 혹평했다.

허은아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아예 '복세편살(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아가자)'이라는 신조어를 이 정권의 콘셉트로 잡은 모양"이라며 "국민들은 제발 정권교체를 해달라고 아우성인데, 대통령은 오늘도 과거를 미화하기 바빴다"고 비판했다.

허 수석대변인은 "곳곳에서 줄줄이 새고 있는 예산에 대해서는 흔한 사과 한마디 없었다. 생색은 자신들이 내고, 책임은 다음 정권, 나아가 미래세대에게 전가하겠다는 무책임의 극치"라며 "그 어느 때보다 철저한 예산심사로 이 정권의 안이한 재정인식과 무책임을 단호히 바로잡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주혜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역시나 자화자찬과 숟가락 얹기 일색"이라며 "국민의 고통과 현실에 대한 공감과 정책 실패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나 반성은 찾아볼 수 없었다"고 말했다.

전 원내대변인은 "문 정부의 정책은 사탕발림 같은 듣기 좋은 말들로 포장했지만, 돌아온 것은 피폐해진 국민의 삶"이라며 "총론만 있을 뿐 각론은 제시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윤석열 캠프의 최은석 수석부대변인은 논평에서 "자화자찬에 낙관론만 펼치고 있으니 '달나라 대통령'이란 소리를 듣는 것 아닌가"라며 "그간 어려움을 참고 견뎌온 국민은 어이없어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 안혜진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무능의 아이콘으로 우뚝 서신 분의 연설은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해냈다는 자화자찬 일색이었고 포토샵으로 한껏 치장한 미래 핑크빛 청사진을 나열하기에 급급한 모습"이라고 비판했다.

안 대변인은 "이제 착한 이웃 아저씨 코스프레는 중단하라"며 "사익과 영달만을 꾀하는 정권의 수장이라는 오명을 지워내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ask@yna.co.kr

☞ 니콜라스 케이지, 27살 일본인 아내와 과감한 스킨십
☞ 다리 위 아찔한 투신 시도…버스에서 나타난 '슈퍼맨'
☞ 곰팡이 필 정도로 기저귀 안 갈아…아이 뼈까지 녹았다
☞ 유니폼도 하이힐도 벗었다…해고 승무원 속옷 시위
☞ '프렌즈' 카페매니저 '건서' 배우, 암 투병 끝 59세로 별세
☞ 언제쯤 야외서 마스크 벗을까…"12월 중순 해제 검토"
☞ 물에 잠기는 몰디브…띄우는게 해법?[뉴스피처]
☞ 미·유럽 학교 '핼러윈 오겜 분장' 금지…그 이유가
☞ 부산서 술 취한 견주가 맹견 풀어 주민들 위협…2명 부상
☞ 김어준 "이재명, 돈·줄·백없이 여기까지…도와줘야"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