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들, 기후변화 탓에 유럽에서 연간 60일 더 머물러"

현윤경 2021. 10. 25. 16: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하라 사막을 넘어 아프리카와 유럽을 오가는 철새들이 기후 변화로 인해 유럽에 머무는 기간이 연간 60일가량 길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현지시간) BBC에 따르면 영국 더럼대학교 연구진은 세월이 흐름에 따라 철새들의 도착과 출발 행태에 일어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서아프리카 감비아, 영국령 지브롤터에서 수집된 50여 년 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당 조류 번식철 연장·다른 종에 대한 연쇄 효과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현윤경 기자 = 사하라 사막을 넘어 아프리카와 유럽을 오가는 철새들이 기후 변화로 인해 유럽에 머무는 기간이 연간 60일가량 길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현지시간) BBC에 따르면 영국 더럼대학교 연구진은 세월이 흐름에 따라 철새들의 도착과 출발 행태에 일어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서아프리카 감비아, 영국령 지브롤터에서 수집된 50여 년 간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줄지어 이동하는 새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학술지 '글로벌 생물학 변화'(Global Change Biology)에 실린 이번 연구에는 감비아의 조류학자들이 1964년부터 2019년까지 모은 자료, 지브롤터 조류자연사학회의 1991∼2018년 자료가 활용됐다.

기후변화로 이동 습성이 변한 것으로 드러난 새들은 나이팅게일, 연노랑솔새, 할미새 등이다. 더럼대 대변인은 "기존에는 철새들의 정기적인 이동이 낮의 길이에 좌우된다고 여겨졌다면, 이번 연구 결과는 새들이 기후변화, 유효한 식생과 같은 요인에 따라 좀 더 '미묘한 결정'을 내림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논문의 주저자인 더럼대 생명과학과의 키런 로런스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나타난 경향이 계속 이어진다면, 상당수 새들은 사하라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는 전혀 머물지 않고, 일년 내내 유럽에서 시간을 보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로런스 교수는 이어 "이런 이동 습관의 변화는 해당 조류들의 번식철 연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영국과 전통적인 겨울철 철새 목적지에서 다른 종에 대한 연쇄 효과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새들이 남쪽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가을과 겨울 동안 유럽에서는 먹이를 둘러싼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아프리카에서는 새들이 없어짐으로써 벌레 소비, 수분(受粉)과 같은 생태계가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ykhyun14@yna.co.kr

☞ 니콜라스 케이지, 27살 일본인 아내와 과감한 스킨십
☞ 다리 위 아찔한 투신 시도…버스에서 나타난 '슈퍼맨'
☞ 곰팡이 필 정도로 기저귀 안 갈아…아이 뼈까지 녹았다
☞ 유니폼도 하이힐도 벗었다…해고 승무원 속옷 시위
☞ '프렌즈' 카페매니저 '건서' 배우, 암 투병 끝 59세로 별세
☞ 언제쯤 야외서 마스크 벗을까…"12월 중순 해제 검토"
☞ 물에 잠기는 몰디브…띄우는게 해법?[뉴스피처]
☞ 미·유럽 학교 '핼러윈 오겜 분장' 금지…그 이유가
☞ 부산서 술 취한 견주가 맹견 풀어 주민들 위협…2명 부상
☞ 김어준 "이재명, 돈·줄·백없이 여기까지…도와줘야"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