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고농도 오존 발생 동해안서 내륙으로 확대..횟수도 늘어

손대성 2021. 10. 25. 14: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경북 도내 오존주의보 발령 횟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경북도에 따르면 매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발령된 도내 오존주의보 횟수는 2017년 17회, 2018년 23회, 2019년 41회, 2020년 33회, 2021년 41회를 기록해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오존주의보 발령 일수는 2017년 11일, 2018년 15일, 2019년 15일, 2020년 11일, 2021년 23일을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존주의보 (PG) [김민아 제작] 일러스트

(안동=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최근 경북 도내 오존주의보 발령 횟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경북도에 따르면 매년 4월부터 10월 사이에 발령된 도내 오존주의보 횟수는 2017년 17회, 2018년 23회, 2019년 41회, 2020년 33회, 2021년 41회를 기록해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도는 예년에는 동해안 지역에서 고농도 오존 발생이 많았지만 올해는 상주, 구미 등 내륙에서도 고농도 오존 발생이 많았다고 밝혔다.

오존주의보 발령 일수는 2017년 11일, 2018년 15일, 2019년 15일, 2020년 11일, 2021년 23일을 기록했다.

도는 공기 중 오존농도가 환경기준을 초과하면 주의보를 발령하는 등 오존경보제를 운용하고 있다.

도내 23개 시·군에서 44개 도시대기측정소를 통해 1시간마다 오존 농도를 측정해 최고 농도가 0.12ppm 이상이면 주의보, 0.3ppm 이상이면 경보, 0.5ppm 이상이면 중대경보를 발령한다.

백하주 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오존은 대기 중 탄화수소가 자외선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2차 대기오염물질"이라며 "고농도 발생지역이 변화했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어 지속적인 감시와 분석을 통해 대기오염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sds123@yna.co.kr

☞ 니콜라스 케이지, 27살 일본인 아내와 과감한 스킨십
☞ 유니폼도 하이힐도 벗었다…해고 승무원 속옷 시위
☞ 다리 위 아찔한 투신 시도…버스에서 나타난 '슈퍼맨'
☞ '프렌즈' 카페매니저 '건서' 배우, 암 투병 끝 59세로 별세
☞ 언제쯤 야외서 마스크 벗을까…"12월 중순 해제 검토"
☞ 물에 잠기는 몰디브…띄우는게 해법?[뉴스피처]
☞ 부산서 술 취한 견주가 맹견 풀어 주민들 위협…2명 부상
☞ 김어준 "이재명, 돈·줄·백없이 여기까지…도와줘야"
☞ 미·유럽 학교 '핼러윈 오겜 분장' 금지…그 이유가
☞ 실탄 없는 '콜드 건' 소품이라더니 '탕'…볼드윈 망연자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