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전국 땅값 1.07% 상승..거래량은 2분기 대비 12.3% 줄어

김동규 2021. 10. 25. 11: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올해 3분기 전국 땅값 상승률이 1.07%로 나타나 전분기(1.05%)보다 0.02%포인트, 작년 3분기(0.95%)와 비교해 0.12%포인트 각각 상승했다고 25일 밝혔다.

수도권(1.19%→1.23%)과 지방(0.80%→0.82%) 모두 상승 폭이 전 분기 대비 확대됐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27만3천필지(435.6㎢)로 전분기 대비 19.4% 줄었으나 작년 3분기보다는 1.2%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 땅값 회복세 0.23%→0.91%..대전 거래량 전분기 대비 27.7% 줄어
전국 땅값 상승세 (CG)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은 올해 3분기 전국 땅값 상승률이 1.07%로 나타나 전분기(1.05%)보다 0.02%포인트, 작년 3분기(0.95%)와 비교해 0.12%포인트 각각 상승했다고 25일 밝혔다.

수도권(1.19%→1.23%)과 지방(0.80%→0.82%) 모두 상승 폭이 전 분기 대비 확대됐다.

수도권에서는 경기(1.07%→1.13%)와 인천(0.96%→1.12%)의 오름폭이 커졌고, 서울(1.34%→1.32%)의 상승폭은 다소 축소됐다.

지방에서는 세종(1.48%), 대전(1.13%), 대구(1.12%), 부산(1.09%) 등 4개 시의 변동률이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제주는 2019년 2분기부터 8분기 연속 땅값이 내렸다가 올해 2분기 0.23% 오르며 상승 전환한 뒤 이번 분기에 0.91%로 오르며 상승 폭을 키웠다.

용도지역별 상승률은 주거지역 1.18%, 상업지역 1.16%, 녹지 0.95%, 공업 0.92%, 계획관리 0.88%, 농림 0.71% 등으로 나타났다.

3분기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78만7천필지(479.6㎢)로 직전 분기보다 12.3%,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5% 각각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27만3천필지(435.6㎢)로 전분기 대비 19.4% 줄었으나 작년 3분기보다는 1.2% 증가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4월부터 농지를 중심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시·도별 2분기 대비 토지 거래량은 대전(-27.7%)과 대구(-27.0%), 부산(-21.5%), 제주(-20.7%) 등 17개 시·도 모두 줄었다.

순수토지 거래량 기준으로도 전북(-26.8%), 전남(-25.3%), 대구(-24.9%), 대전(-22.4%), 제주(-22.2%) 등 17개 시·도 모두 감소했다.

2021년 3분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국토교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dkkim@yna.co.kr

☞ 유니폼도 하이힐도 벗었다…해고 승무원 속옷 시위
☞ 물에 잠기는 몰디브…띄우는게 해법?[뉴스피처]
☞ '프렌즈' 카페매니저 '건서' 배우, 암 투병 끝 59세로 별세
☞ 부산서 술 취한 견주가 맹견 풀어 주민들 위협…2명 부상
☞ 김어준 "이재명, 돈·줄·백없이 여기까지…도와줘야"
☞ 미·유럽 학교 '핼러윈 오겜 분장' 금지…그 이유가
☞ 실탄 없는 '콜드 건' 소품이라더니 '탕'…볼드윈 망연자실
☞ 코로나 예방위해 마스크 내내 쓰는데 독감 접종 해야할까
☞ "유괴될 뻔한 아이들, 20m 달려 도망치니 범인이 포기"
☞ 이재영도 그리스 리그 데뷔…"코치진, 동료 덕에 좋은 경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