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실패, 기대 없다"..글래스고로 향하는 미래세대의 분노

최우리 2021. 10. 25. 05: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COP26 이해당사자 '입장차'
청년들 "탈탄소 합의" 시위 계획
전경련 "기업 입장 반영 요청중"
정부, '기후대응 선진국\' 될까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50탄소중립위원회'제2차 전체회의가 열린 18일 오후, 행사장인 서울 용산구 노들섬 전시관 앞에서 대학생 기후행동 회원들이 피켓시위를 하며 행진하려다 경찰의 제지를 받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yws@hani.co.kr
60만명이 사는 영국 항구도시 글래스고에선 올여름부터 숙박경쟁이 벌어졌다. 다음달 열리는 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Conference of Parties) 때문이다. 당사국총회는 연례행사이나,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성사되지 못했다. 처음 있는 일이다. 환경 파괴에 책임을 묻는 코로나가 기후위기 대응체도 중단시킨 셈이다. 덕분에 관심도는 역대급이다. 위기의식과 과제가 더 막중해진 까닭이다. 197개 당사국의 정상급 인사(130여개국 정상 포함)와 각 나라 기후활동가, 기업인들이 글래스고로 향한다. 숙박경쟁 이전부터, 각국 정부, 기업, 이익집단들이 26차 당사국총회를 앞두고 제각기 이익을 유엔에 관철하고자 ‘소리 없는 전쟁’을 치르고 있다.
기후변화팀을 별도 운영해온 <한겨레>는 2년 가까이 중단되었던 국외취재를 재개하며, 그 첫 기수를 글래스고로 잡았다. 전지구적 위기 앞에서 국력과 산업화 정도, 그 밖의 숱한 각국 사정에 따라 기후대응의 목표도, 전략도 상이하다. 다만 동일한 것은, 2030년의 지구가 사실상 이번 글래스고에서 결정되리란 점이다. <한겨레>는 26차 총회를 중심으로 쓰이는 인류의 기후변화 전쟁사를 현지에서 기록해 전하고자 한다.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는 197개 국가로 구성되어 지구의 미래를 결정해간다. 하지만 기후재앙은 국적, 지위, 인종, 나이를 가리지 않기에, 전 세계 기업인, 전문가, 기후활동가, 일반시민 등이 결집해 목소리를 내려고 한다. 미래세대의 상징이자 기후운동의 아이콘이 된 스웨덴의 그레타 툰베리처럼 말이다. 국적을 제외한다면, 다수의 ‘툰베리’와 산업계, 그 사이 어느 지점의 정부 대결로 COP는 압축할 만하다. 그들의 요구는 마치 다른 언어처럼 상이하다. 한국에선 이미 이달 2030 엔디시(2018년 탄소배출량 대비 40% 감축)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확정 과정에서 각계 갈등이 불거진 바 있다.

국내 산업계는 그간 대한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대표단을 꾸려 기후변화 당사국회의에 참여했다. 하지만 이번 COP26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국내 온실가스 배출 1위 기업인 포스코도 불참한다. 현대자동차는 실무자 1~2명이 들르는 정도다. <한겨레>가 이들에게 각기 COP26에 바라는 바를 문의했으나 답변을 들을 수 없었다. 대신 전국경제인연합회 관계자는 “정부가 확정된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국제 사회에 발표할 텐데, 기업의 입장을 반영해달라고 계속 요청 중”이라고 답했다. 대한상의 쪽은 “이번에는 코로나 때문에 산업계 대표단을 구성하지 못했다. 백신 접종이 많이 되긴 했지만 (세계적 행사에는)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판단해 안 가는 걸로 됐다”고 말했다. 국내 산업계는 최근 확정된 ‘2030 엔디시’를 크게 비판해왔다. 탄소중립 시나리오도 비용부담이 가장 큰 방안으로 결정됐다고 반발했다. 하지만 이 엔디시나 시나리오 모두 국제사회에선 되레 부족하다고 비판받을 여지가 있어, 산업계로선 난처할 수밖에 없는 모양새다.

청년세대의 권리 주장은 더 명료해지고 있다. 지난해 총회를 거르는 동안 탄소중립이 한국사회 중심으로 떠오르고, 미래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는 청년세대의 목소리도 훨씬 거세졌다. 다음달 6일 글래스고에서는 전세계 청소년·청년들이 함께 하는 ‘미래를 위한 금요일(FFF)’이 ‘액션의 날’로 이름 붙이고 시위를 계획하고 있다. 10일엔 만민공동회 식의 시민발언이 이어진다. 이와 관련해 ‘청소년이 바꾸는 지구’의 노민주(19) 활동가는 “(이번 COP에서) 기후위기의 최전선에 있는 약자들을 보호할 구체적인 내용이 발표되기를 바란다”며 “본인의 미래를 지킬 기회도 주어진 적이 없는데 함께 (피해를) 책임지고 감당해야 한다는 건 잔인하고 무책임하다”고 말했다. 제로웨이스트에 관심 많은 대학생 권수진(21)씨는 “코로나가 장기화되며 일회용품 사용이 쓰레기 발생을 가속화시킨 것 같다”며 “국가정책과 기업의 친환경 사업이 실제 환경에 끼친 효과를 돌아보고 보다 발전된 정책들이 약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청소년기후행동’ 윤현정 활동가(18)는 기후위기 당사자로서 “탄소예산(배출 가능한 탄소량)에 입각해 목표를 설정하고, 2030년까지 전 세계 화석연료 발전을 단계적으로 퇴출시킨다는 합의도 이뤄져야 한다. 이런 기준을 지키지 못한 나라에게 페널티도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간 수차례 COP에 참여했던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은 “기후위기를 만든 것은 어른들인데 미래세대의 목소리가 잘 전달되지 못했다. 이번에는 미래세대의 발언을 반영하는 헌장 등이 나올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