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 해군 함정 10척, 일본 주위 한 바퀴 돌며 무력 시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 대립이 이어지는 가운데 협력 관계를 과시하는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 동맹인 일본 열도에 해군 함정 10척을 배치해 무력 시위를 펼쳤다.
24일(현지시간)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방위성 통합막료감부(한국 합참에 해당)는 중국과 러시아 해군 함정 5척씩, 총 10척이 가고시마(鹿兒島)현 오스미(大隅)해협을 나란히 통과해 동중국해에 진입했다고 전날 발표했다.
중국과 러시아 양국의 함정이 오스미 해협을 동시에 통과하는 것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中전문가 "중러, 높은 수준 실전능력 보여"
미국과 중국 사이에 대립이 이어지는 가운데 협력 관계를 과시하는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 동맹인 일본 열도에 해군 함정 10척을 배치해 무력 시위를 펼쳤다.
24일(현지시간)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방위성 통합막료감부(한국 합참에 해당)는 중국과 러시아 해군 함정 5척씩, 총 10척이 가고시마(鹿兒島)현 오스미(大隅)해협을 나란히 통과해 동중국해에 진입했다고 전날 발표했다.
중국과 러시아 양국의 함정이 오스미 해협을 동시에 통과하는 것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양국 해군은 동해에 접한 러시아 극동 블라디보스토크 인근 표트르 대제만 부근 해역에서 지난 14일부터 사흘간 해상연합-2021 훈련을 진행했다.
이 훈련을 마친 뒤 지난 18일 일본 홋카이도(北海道)와 혼슈(本州) 사이의 쓰가루(津輕)해협을 거쳐 태평양에 진출했다. 이어 20일 지바(千葉)현 동쪽의 이누보자키(犬吠埼) 앞바다 약 130㎞까지 접근하며 일본 열도 우측을 따라 남하했다.
21일에는 시즈오카(靜岡)현 동남부의 이즈(伊豆)제도 부근에서 양국 프리깃함에서 각각 함재 헬기의 이착륙 훈련도 펼쳐졌다. 이들은 22일 오후 1시께 고치(高知)현 아시즈리(足摺)곶 남쪽 180㎞ 지점을 통과해 오스미반도와 다네가시마(種子島) 사이의 오스미해협 수로를 따라 동중국해 쪽으로 넘어갔다. 23일 오전 10시쯤 나가사키(長崎)현 단조(男女)군도 남남동쪽 약 130㎞ 지점에선 중국 미사일 구축함 함재 헬기의 이착륙 훈련도 확인됐다. 이때 일본 항공자위대 전투기가 긴급발진해 대응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은 전했다.
중국과 러시아 함정이 잇따라 통과한 쓰가루, 오스미 해협은 국제해협이어서 통과 자체에 국제법상으로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미국이 대만 문제 등을 놓고 대립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일본, 영국, 호주 등 우방 세력을 결집해 군사훈련을 강화하는 가운데 중·러 함정이 일본 열도를 사실상 일주하는 무력 시위에 나선 셈이다.
일본 방위성은 중·러 함정의 이번 움직임이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보고 경계를 강화하면서 정확한 의도를 분석 중이다. 일각에선 미국과 일본이 영국과 호주 등과 함께 일본 주변 해역에서 다자간 훈련을 반복하는 것을 중국과 러시아가 견제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9월 영국의 최신예 항모 '퀸 엘리자베스'를 주축으로 하는 항모 타격군이 일본에 기항했다.
미국과 일본은 이 기회를 활용해 오키나와(沖繩) 남서쪽 해역에서 미·영 항모 총 3척이 참가하는 대규모 합동훈련을 펼치는 것으로 중국을 압박했다.
중국 관영매체인 환구시보에 따르면 중국 국방부는 "17∼23일 중국과 러시아가 서태평양에서 처음으로 합동 순항을 했다"고 확인했다. 합동 순항과 더불어 합동 도항, 연합 기동, 실제 무기사용 등을 훈련하면서 국제법과 관련 규정을 지켰으며 타국 영해에 들어가지 않았다고 중국 국방부는 덧붙였다.
중국 군사전문가들은 중러 함정의 이번 합동 순항을 '해상 순찰'(해상 초계 활동)로 규정하면서 평시에서 전시 상태로 기민하게 전환하는 실전 능력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백주연 기자 nice89@sedaily.com<©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요한 '이재영·다영 언급하자 악플테러…뜨거운 맛 봤다'
- 할아버지가 주신 대학 등록금, 증여세 내야 하나요[도와줘요, 상속증여]
- 아파트값 하락?…서울 매물 한달새 6,000건 늘었다
- '사춘기 남학생, 무슨 생각 하겠나'…독서실서 레깅스 지적받은 여성
- '윗집서 버린 꽁초가 우리집 변기에?' 글에 '범인은 집에' vs '역류 가능'
- 섹시 화보 찍어 23억 번 남매… '부모님 빚 다 갚았다' 화제
- '전두환 비석' 2번이나 밟은 이재명 '尹은 밟기 어려울텐데…'
- '따뜻한 겨울 보내길'… 베풀고 떠난 '식빵언니' 김연경
- 베트남서 1억개 넘게 팔렸다…제2의 초코파이 등극한 '안(An)'
- '빵 먹게 해 미안해'…학교로 돌아온 조리원들의 ‘특별한 점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