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라니' 비난에도 잘 나가던 전동킥보드..서비스 중단 왜?

오대석 2021. 10. 24. 16: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업체 난립막은 佛사례 주목
[사진 = 이승환 기자]
공유 전동킥보드 견인, 헬멧 미착용 때 범칙금 부과와 같은 각종 규제가 이어지면서 개인형 이동수단(PM) 사업자들이 위축되고 있다. 서비스 지역을 축소하거나 국내에서 아예 사업을 철수하는 업체마저 등장했다. 일각에선 PM이 탄소중립 시대에 맞는 친환경 이동수단인 만큼 해외 도시처럼 수량을 제한하되 규제를 합리적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독일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 '윈드(WIND)'는 최근 한국 서비스 철수를 결정했다. 지난 13일 앱에 공지를 올려 "본사 정책과 여러 사항으로 부득이하게 국내 사업 철수를 공식 결정했다"고 안내했다. 2019년 국내에 진출한 윈드는 서울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운영해왔다. 또 다른 업체 '지쿠터'도 공지를 통해 이달 1일부터 서울 영등포구·동작구·관악구 지역에서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3곳 모두 전동킥보드 견인과 과태료 부과가 활발한 지역이다.

한국보다 공유 전동킥보드가 먼저 도입된 프랑스 파리도 2019년 공유 전동킥보드가 2만5000대 이상 난립했다. 이 때문에 안전사고와 보행 불편 문제가 발생했다. 같은 해 11월 파리 지자체는 공모 사업을 통해 3개 운영사가 전동킥보드를 5000대씩만 운영하도록 제한했다. '킥보드 다이어트'와 함께 공공시설 근처에 차량 1대 주차 공간 크기로 전동킥보드를 주차할 수 있는 별도 공간을 마련했다.

파리 외에도 미국 뉴욕과 샌프란시스코, 영국 런던, 이탈리아 로마, 노르웨이 오슬로 같은 도시에서도 공유 전동킥보드 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제안 공모 방식을 채택하거나 도입하고 있다. 파리 소르본대 산하 연구소에서 도시디자이너로 활동 중인 한승훈 디자이너는 "파리가 이 같은 제도를 도입하고 수용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장기적인 자전거도로 확충 정책과 대기오염 문제에 대응하고자 하는 시와 시민들의 개선된 인식도 작용했다"며 "한국도 전동킥보드 문제의 해법을 반드시 전동킥보드를 통해 찾기보다 사용자를 분석하고 인프라스트럭처와 정책에 대한 고민을 더해 좁은 범위부터 완성도 높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대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