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개 정부청사 청소노동자 휴게실, 10개 중 3개 지하에 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3개 정부청사의 청소노동자 휴게실 3개 가운데 1개 이상이 지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8월 기준으로 13개 정부청사의 청소노동자 휴게실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133개의 청소노동자 휴게실 가운데 49개(36.8%)가 지하에 있었다.
서울 여의도 국회에도 38개의 청소노동자 휴게실 가운데 7개(18.4%)가 지하에 있었다.
게다가 코로나19 이후 정부청사 청소노동자들의 휴게실은 사실상 1평(3.3㎡) 공간이나 다름없게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3개 정부청사의 청소노동자 휴게실 3개 가운데 1개 이상이 지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고용노동부가 제시한 ‘사업장 휴게시설 가이드라인’을 보면, 휴게실은 가급적 지상에 설치해야 한다.
24일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8월 기준으로 13개 정부청사의 청소노동자 휴게실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133개의 청소노동자 휴게실 가운데 49개(36.8%)가 지하에 있었다. 제주청사와 서울정부청사 고양지소는 지하 2층에 휴게실을 마련하기도 했다. 비교적 최근에 지어진 인천청사와 대전청사관리소 충남지소, 경북지소만 휴게실을 모두 지상에 만들었다.
서울 여의도 국회에도 38개의 청소노동자 휴게실 가운데 7개(18.4%)가 지하에 있었다. 국회 본관과 의원회관, 도서관, 헌정기념관 등 대다수 건물에 하나 이상 지하 휴게실이 있었다. 특히 국회의원들의 사무실이 있는 의원회관은 10층 높이에 벽면이 대리석으로 되어 있고, 외관은 복층 유리로 씌워져 있어 회관 안으로 햇빛이 가득 들어온다. 하지만 이런 공간을 청소하는 이들의 휴게실은 지하 4층에 있다. 지하주차장에 인접한 복도 옆 공간이다. 창문이 없어 햇빛이 들어오지 않고 자동차 배기가스가 떠다니지만 환기도 할 수 없다.
청소노동자들에게 휴게실은 업무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공간이다. 종일 허리를 구부려 서서 일해야 하고 화장실 비품이 부족하지 않은지 자주 확인해야 해 별도의 대기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청사나 국회는 민간 사업장보다 휴게실 여건이 나은 편이지만 고용노동부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한다. 이에 가이드라인에 맞게 휴게시설을 개선하자는 요구가 커졌으나 공간 및 예산 확보가 어렵다는 등의 이유로 개선이 더뎠다.
게다가 코로나19 이후 정부청사 청소노동자들의 휴게실은 사실상 1평(3.3㎡) 공간이나 다름없게 됐다. 정부청사에는 건물마다 1∼2개씩 큰 규모의 공용 휴게실과 작은 규모의 층별 개인 대기실이 있는데, 코로나19로 집합을 자제하기로 한 뒤로는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휴게실을 이용하기 어려워 주로 대기실에서 쉬기 때문이다. 휴게실은 사물함도 비치돼 있고 여러 사람이 쓸 수 있는 반면 대기실은 한 명이 다리를 뻗고 눕기에도 부족한 크기다.
예를 들어, 정부과천청사의 경우 청소노동자에게 배분된 53개 공간 가운데 41개 공간의 면적이 1평(3.3㎡) 미만이었다. 주로 대기실로 이용되는 공간인데, 0.5평(1.65㎡) 크기나 0.7평(2.31㎡) 크기도 여럿 있었다. ‘후생동’이라는 별도 건물에 5평(16.52㎡) 크기 휴게실이 두 군데 있지만 코로나19 이후 집합을 자제하기로 한 뒤로는 이곳에 거의 가지 않는다고 현장 노동자는 설명했다. 과천청사에 근무하는 청소노동자 ㄱ씨는 “대기실에서 밥도 먹고 대기하기도 하는데 공간이 협소한 게 사실이다. 발을 쭉 펴지 못하고 각 층 근무자 두 명이 들어가기도 좁은 크기”라고 말했다. 정부세종청사와 정부서울청사도 휴게실과 대기실을 함께 운영하는데, 청소노동자들이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줄이기로 청사와 합의하고 휴게실 이용을 자제한 뒤로는 주로 좁은 대기실에서 생활한다.
정부과천청사와 정부서울청사 관계자는 “코로나19로 휴게실 집합이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지만 조만간 휴게공간을 더 조성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국회 관계자는 “건물이 노후화되고 입주기관이 많다 보니 휴게실 공간 확보가 쉽지 않은데 앞으로 시설 개선을 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다은 기자 downy@hani.co.kr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괌·몰디브·칸쿤·스페인.. '입소문' 타고 예약 연말까지 꽉 찼다
- 윤석열의 '치명적 망언들'..이재명이 집중 공격하는 까닭은
- 240일 만에 접종완료율 70%..단계적 일상회복 발판 마련했다
- "공사비 6천만원 못 받아" 3남매 아빠 극단 선택..시행사 대표 구속영장
- 유류세 15% 인하 유력..휘발유 L당 123원 내려간다
- 봉하 찾은 심상정 "검찰개혁 추진됐다면 '고발 사주'도 없었을 것"
- 연말까지 대출 문턱 더 높아진다..은행들 '우대금리' 폐지
- 윤석열-홍준표 '친박계 모시기' 과열..단체장 공천 미끼 비판도
- 나이지리아 무장세력 교도소 습격..재소자 800여명 탈옥
- 떠나려면 지금! 영문 백신접종 증명서 잊지 말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