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 평균 수익률, 7월 이후 급격히 감소

오현태 2021. 10. 24. 10: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7월 이후 증시 변동성 확대 등으로 공모주 평균 수익률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7월부터 이달 22일까지 IPO(기업공개)를 통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40개 기업(스팩·리츠 포함)의 공모가 대비 22일 종가 기준 수익률은 평균 27.55%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월 이후 증시 변동성 확대 등으로 공모주 평균 수익률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7월부터 이달 22일까지 IPO(기업공개)를 통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40개 기업(스팩·리츠 포함)의 공모가 대비 22일 종가 기준 수익률은 평균 27.55%입니다.

이는 상반기 상장한 52개 기업의 평균 수익률 53.82%의 절반 수준입니다.

3분기 기대주 중 일진하이솔루스(113.41%), 카카오뱅크(54.1%), 현대중공업(68.33%) 등이 수익률이 공모가 대비 50%를 상회한 반면 SD바이오센서(-9.62%), 크래프톤(-2.01%), 롯데렌탈(-22.14%) 등은 공모가를 하회하고 있습니다.

7월 이후 신규 상장한 기업 중 상장 첫 거래일에 '따상'(공모가의 2배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상한가 기록·공모가 대비 수익률 160%)에 성공한 기업은 맥스트·한화플러스제2호스팩·원티드랩·플래티어·브레인즈컴퍼니·일진하이솔루스·지아이텍 등 7곳뿐이었습니다.

상반기 따상에 성공한 기업은 19곳이었습니다.

공모주 펀드 수익률도 지지부진합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22일 기준 최근 한 달간 143개 공모주 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0.81%입니다.

공모주 펀드의 설정액은 7조 2,758억 원으로, 1개월 전과 비교해서 3,190억 원이 줄었습니다.

올해 들어 공모주가 높은 수익률로 '불패 신화'를 자랑했지만, 공모가 고평가 등 공모주 과열 논란과 증시 부진 탓에 투자 심리가 악화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오현태 기자 (highfive@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