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회복 심리, '오징어 게임' 전 세계적 흥행에 의류·게임·콘텐츠주 큰 폭 상승세 기록

조민정 2021. 10. 24. 10: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부터 내리막길을 걷는 증권시장 분위기 속에서도 소비 회복과 '오징어 게임' 등 호재로 의류, 게임, 콘텐츠 등 일부 업종이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9월 초 이후 업종지수 등락률을 살펴보면 게임주를 주로 편입한 디지털콘텐츠(19.97%), 콘텐츠·엔터주를 포함하는 오락·문화(17.98%)와 방송서비스(12.98%)가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이 가운데 위메이드는 모바일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미르4' 글로벌 흥행으로 이 기간 주가가 185.33% 급등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부터 내리막길을 걷는 증권시장 분위기 속에서도 소비 회복과 '오징어 게임' 등 호재로 의류, 게임, 콘텐츠 등 일부 업종이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시장 전반에 걸친 투자심리 위축에도 개별 호재에 따라 업종 및 종목별 차별화가 뚜렷한 장세를 보였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9월 1일부터 10월 22일까지 코스피는 3199.27에서 3006.16으로 6.04%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는 1038.33에서 995.07로 4.17% 내렸다.

이 같은 하락장에도 빛을 본 업종이 있다.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에서 섬유·의복 업종 지수는 12.24% 오르며 유일하게 10% 이상 상승했다.

의류주는 위드 코로나 시대를 앞두고 조금씩 되살아나는 소비 심리 속 수혜주로 주목받으며 주가가 급등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9월 들어 소비 심리가 상승 전환했고 의류 업체들의 주 유통망인 백화점 매출도 갈수록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4분기 의류 성수기에 따른 실적 모멘텀을 기대해볼 만 하다"고 말했다.

강세를 보인 업종으로는 'MLB', '디스커버리'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는 F&F가 있다. 지난달 초 이후 주가 상승률은 21.72%에 달한다.

지난 22일 종가 기준 F&F 주가는 88만원이다. 최근 증권사들은 F&F 주가를 앞다퉈 '황제주' 기준인 100만원 이상으로 올려 잡았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F&F 목표주가를 100만원으로 제시하며 "내수에서 높은 인지도를 기반으로 점유율이 확대되고, 중국 신규 출점 확대로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코스피에서는 9월 초 이후 보험(4.31%), 통신(2.72%), 전기가스(2.51%) 등 전통적인 경기 방어주가 불안한 장세 속에서 선전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게임주와 콘텐츠주가 강세를 보인다.

9월 초 이후 업종지수 등락률을 살펴보면 게임주를 주로 편입한 디지털콘텐츠(19.97%), 콘텐츠·엔터주를 포함하는 오락·문화(17.98%)와 방송서비스(12.98%)가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올여름 중국의 게임 규제 등으로 혹독한 시련기를 보냈던 게임주는 겨울 성수기 진입을 앞두고 신작 모멘텀에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위메이드는 모바일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미르4' 글로벌 흥행으로 이 기간 주가가 185.33% 급등했다.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전 세계적 흥행에 디즈니플러스의 한국 상륙 소식이 겹치며 콘텐츠주 주가 역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오징어 게임'의 대표 수혜주로 꼽히는 버킷스튜디오·쇼박스는 9월 초 이후 각각 86.38%, 66.79% 상승했다.

KB증권 관계자는 "'오징어 게임' 흥행으로 K콘텐츠 경쟁력이 한 번 더 입증됐다"고 말했다.

영화제작사 NEW의 주가는 이달 들어 32.14%나 올랐다. 자회사 스튜디오앤뉴가 제작 중인 드라마 '무빙'과 '너와 나의 경찰수업'이 디즈니플러스에서 방영될 것이란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제2의 '오징어 게임'으로 화제를 모은 '마이네임'의 제작사 스튜디오산타클로스의 주가 역시 급상승 곡선을 그렸다.

이외에도 국내 미디어콘텐츠 대장주 CJ ENM과 위지윅스튜디오, 쇼박스, 덱스터, 스튜디오드래곤 등 주가도 강세를 보였다.

반면 지난달 초 이후 시장 수익률을 밑돈 업종은 코스피에서는 의약품(-16.58%), 운수창고(-15.05%), 비금속광물(-8.66%), 의료정밀(-8.23%), 전기전자(-8.06%) 등이었다. 코스닥 업종지수 중에서는 유통(-17.43%), 제약(-12.48%) 정보기기(-12.29%), 비금속(-9.66%), 반도체(-9.62%) 등의 하락폭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

- Copyrightsⓒ 스포츠조선(http://sports.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준현, '맛있는 녀석들' 하차한 이유 "오래될수록 불안해져"
국대 코치 “배구 스타 참수당해 사망”..유족들은 “극단 선택” 주장
정영주 “ADHD 아들 위해 학부모들 앞에서 무릎 꿇어” 눈물
정선희 “빚 3억 5천, 이경실 덕 하루 만에 다 갚아…남편복 빼고 다 있어”
“촬영 도중 알았다”… 한소희, ‘마이 네임’ 베드신 언급
“씻을 때마다 시아버지가 욕실 문 열어” 며느리의 속앓이
'제니와 열애설' 지드래곤, 무심하게 낀 '하트 반지'
이런 선풍기는 없었다. 선풍기인가? 에어컨인가?
'비거리' 최대! 믿고 치는'드라이버' 전세계 최저가! 10자루 한정!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