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친환경차 수출량 20만대 돌파.. SUV 효과 톡톡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차(005380)와 기아(000270)의 하이브리드·플러그인하이브리드·전기차 등 친환경차 수출량이 올해 들어 8월까지 20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차량을 유형별로 보면 올해 8월까지 현대차·기아가 수출한 하이브리드차는 11만7483대로, 작년 같은 기간(7만6119대)에 비해 54.3% 증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차(005380)와 기아(000270)의 하이브리드·플러그인하이브리드·전기차 등 친환경차 수출량이 올해 들어 8월까지 20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생산 차질에도 해외 판매량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셈인데, 특히 스포츠유틸리티차(SUV)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24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올해 1∼8월 수출한 친환경차는 총 22만7768대로, 전년 동기(16만7995대) 대비 35.6% 증가했다. 이 속도라면 올해 연간 친환경차 수출 대수는 지난해 수준(26만9874대)을 넘어 30만대를 돌파할 가능성도 있다.
회사별로 보면 올해 8월까지 현대차는 12만7472대, 기아는 10만296대의 친환경차를 수출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1.1%, 29.1%씩 늘어난 수준이다.
싼타페와 쏘렌토, 투싼 등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SUV의 해외 판매가 올해부터 본격화되면서 반도체 부족 사태로 인한 생산 차질에도 수출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수출이 감소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영향도 있다.
수출 차량을 유형별로 보면 올해 8월까지 현대차·기아가 수출한 하이브리드차는 11만7483대로, 작년 같은 기간(7만6119대)에 비해 54.3% 증가했다. 이중 SUV 차종이 8만1869대로 69.7%를 차지하면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63.1% 늘었다.
모델별로는 올해부터 해외 판매가 본격화된 투싼 하이브리드(1만5498대), 쏘렌토 하이브리드(1만4204대), 싼타페 하이브리드(1만488대) 등이 모두 1만대 이상 수출되며 실적을 견인했다. 기아의 니로 하이브리드가 2만6841대로 하이브리드 차종 중 가장 많은 수출량을 기록했지만 지난해보다는 6.0% 줄었고, 현대차 코나 하이브리드는 24.7% 감소한 1만4838대가 수출됐다. 이외 아이오닉 하이브리드(2만394대), 쏘나타 하이브리드(8334대), 아반떼 하이브리드(6860대) 등 세단 모델도 수출 증가에 힘을 보탰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니로 1만4205대, 아이오닉 4927대, 싼타페 4923대 등 총 2만4055대가 수출돼 전년 동기(1만8315대) 대비 31.3% 늘었다.
전기차는 현대차 4만338대, 기아 4만5020대 등 총 8만5358대가 수출돼 1년 전 같은 기간(7만2766대)보다 17.3% 증가했다. 코나 EV(1만4199대)와 쏘울 EV(4977대)가 지난해보다 각각 53.0%와 19.0% 감소하는 등 기존 전기차 모델의 수출량이 감소했지만 전용 전기차 모델인 아이오닉 5가 1만9052대, EV6가 3824대 각각 수출되면서 전체적으로 호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니로 EV도 1년 전보다 32.9% 증가한 3만6219대가 수출됐다.
한편 수소전기차 넥쏘는 8월까지 총 872대가 수출돼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5% 증가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물산 “심각한 명예훼손 당해, 정정 않으면 법적 조치”…강남 재건축조합에 경고장 보냈다
- 이틀간 5조원 수주… “中 배제 움직임에 韓 조선 수혜”
- 민간에 개발이익 89% 몰아줘… 대장동 닮은 산업은행 대전 산업단지 개발
- [인터뷰] 박재훈 한화시스템 MRO단장 “AI 군수참모 시대 온다”
- 궁중 음식에 명품 집기… 일등석 고급화 힘주는 대한항공
- 미국 없는 유럽 재무장에…주목받는 미사일 제조사 MBDA
- 백종원부터 승리까지... 프랜차이즈 ‘오너리스크’ 피해는 점주 몫?
- 3만명 서명 맞아?… 뉴진스 팬덤 탄원서 ‘뻥튀기’ 논란
- 가상자산 호황에 거래소 1, 2위 두나무·빗썸은 강남 빌딩 매입 ‘땅 따먹기’
- [Why] 중기·소상공인 정치 세력화…김기문 회장이 주장한 경제단체 정치 참여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