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몽 등 신선식품 수입가격 줄줄이 상승..물류난·인건비 상승 여파

2021. 10. 24. 07: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물류난과 산지 인건비 상승 여파 등으로 식품 수입 가격이 오르고 있다.

24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최근 수입 과일을 들여오는 가격이 지난해 이맘때쯤과 비교해 평균 10∼15% 올랐다.

자몽은 코로나19 사태로 주요 산지인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 수입 물량 자체가 축소되고 인건비·물류비 상승이 더해지면서 전년 대비 20%가량 가격이 올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일 수입가 10∼15% 올라.."연말 소매가 인상 불가피"
[헤럴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글로벌 물류난과 산지 인건비 상승 여파 등으로 식품 수입 가격이 오르고 있다. 특히 돼지고기와 과일 등 신선 식품을 위주로 수입 원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유통업계에서는 이런 추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24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최근 수입 과일을 들여오는 가격이 지난해 이맘때쯤과 비교해 평균 10∼15% 올랐다.

인상 원인은 복합적이다. 산지에서 생산량이 줄어든 경우가 많고 여기에 더해 인건비도 오른데다 글로벌 물류난까지 겹친 영향이 크다. 자몽은 코로나19 사태로 주요 산지인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 수입 물량 자체가 축소되고 인건비·물류비 상승이 더해지면서 전년 대비 20%가량 가격이 올랐다.

포도와 멜론 역시 올여름 폭염으로 현지 생산량이 감소하고 미국 국내 소비도 증가하면서 수입량이 줄어 전년 대비 가격이 15% 인상됐다. 오렌지와 파인애플, 레몬 가격도 산지 생산량 감소와 물류비 상승이 겹치면서 평균 10% 이상 올랐다.

이마트에 따르면 수입 과일은 남미와 호주 쪽에서 오는 배편이 부족하고 상품이 들어오는 부산항도 혼잡해 상품 입고 일정의 변동이 심한 상황이다. 다만 아보카도 가격은 올해 수입량이 늘면서 작년보다 10% 정도 낮아졌다.

이마트에 따르면 노르웨이 연어는 최근 국내에 들여오는 가격이 20∼30%가량 올랐다. 지난해 10월 시중 연어 단가는 kg당 2만∼2만3000원 내외였지만 올해 10월에는 2만5000∼2만9000원 안팎에서 판매되고 있다.

유가 상승으로 인해 노르웨이 현지의 연어잡이 출항이 어려워진데다 노르웨이에서 연어를 싣고 들어 올 항공이나 선박 컨테이너 공간이 줄어들면서 공급량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베트남·인도네시아산 냉동 새우와 아프리카 모리타니아산 문어의 가격도 각각 15∼20%가량 올랐다.

돼지고기와 소고기는 수입가와 소매가가 모두 올랐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를 보면 이달 9∼17일 수입 냉동 삼겹살 가격(이하 kg 기준)은 7458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90% 올랐다. 수입 냉장 삼겹살 가격 역시 8635원으로 18.43% 올랐다. 수입 냉동 소갈비 가격은 1만953원으로 43.53%, 냉장 소갈비 가격은 1만9225원으로 38.98% 인상됐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수산물유통정보 사이트(KAMIS)의 시세를 보면 이달 20일 기준 미국산 냉동 소고기(갈비) 소매가는 100g당 2692원으로 한 달 전보다는 3.1%, 1년 전과 비교하면 8.8% 올랐다.

호주산 냉장 소고기(갈비)는 20일 기준 평균가가 100g당 2834원으로 한 달 전보다는 2.8% 떨어졌으나 1년 전과 비교하면 46.8% 올랐다. 수입 냉동 삼겹살(중품) 평균가(100g)도 1413원으로 1개월 전보다는 2.4%, 1년 전보다는 29.5% 올랐다.

유제품 수입가도 올랐다.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이달 9∼17일 모차렐라 치즈 가격은 kg당 5541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4.94%, 버터 가격은 9801원으로 3.10% 각각 인상됐다.

이런 상황에서는 더 큰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산지 다변화 등의 대책 마련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oskymoo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