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발사 비하한 中 "1970년대 중국 기술에 못 미쳐"

박찬규 기자 2021. 10. 23. 16: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 발사를 깎아내렸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는 지난 21일 오후5시 발사됐으며 전 비행과정은 완벽히 수행했지만 궤도 안착에는 실패했다.

이를 두고 미국 CNN과 영국 BBC 등 주요 외신은 누리호의 실패보다는 한국의 과학기술 진전에 주목했다.

국내 기술로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분석 결과 이륙 후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이 정상적으로 수행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1일 오후 5시 발사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가 전 비행과정은 완벽히 수행했지만 궤도 안착에는 실패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발사된 누리호의 모습. /사진=뉴스1
중국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ll) 발사를 깎아내렸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는 지난 21일 오후5시 발사됐으며 전 비행과정은 완벽히 수행했지만 궤도 안착에는 실패했다. 이를 두고 미국 CNN과 영국 BBC 등 주요 외신은 누리호의 실패보다는 한국의 과학기술 진전에 주목했다.

반면 지난 22일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전문가의 발언을 인용해 중국이 1970년대 개발한 창정2호에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기사에서 중국 우주전문가인 황즈청은 "중국이 1970년대 개발한 창정2호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언급했다. 창정2호는 2단 운반 로켓으로 2.4톤의 무게를 200~400㎞ 근접 궤도까지 보낼 수 있다.

황즈청은 누리호의 3단 로켓은 액체 엔진을 사용했지만 고압 애프터버너를 채용하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애프터버너는 15년 이상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중국의 이런 반응은 미국의 주요 동맹국인 한국이 누리호를 기반 삼아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개발할 가능성을 경계한 것으로 분석된다.

환구시보는 발사체 개발 능력이 군사력에 도움이 된다며 한국 정부도 이를 부인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많은 강대국의 초기 우주 발사체가 ICBM이나 장거리 미사일의 기초가 됐다는 점도 언급하면서도 민간용 발사체를 군용 ICBM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많은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국내 기술로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분석 결과 이륙 후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이 정상적으로 수행했다. 하지만 3단에 장착된 7톤(t)급 액체 엔진이 목표로 한 521초 동안 연소되지 못하며 475초에 조기 종료됐다. 위성 모사체가 700㎞ 고도에는 도달했지만 최종 목표 궤도에는 안착하지 못했다.

[머니S 주요뉴스]
"K배우 대학 동문입니다"… 인성 폭로전 가담 '충격'
"비키니 몸매 환상"… 롯데 치어리더, 미모 폭발
"전지현보다 더 예쁘죠?"… 고윤정, 완벽한 애플힙
"다리가 엄청 길어"… 권유리 미니스커트 '헉'
정선희 빚만 3억5000만원, 이경실이 갚아줬다?
'꼬꼬무', 형제복지원 사건 '충격'… 전소미 눈물
"주변에서 더 난리"… 홍지민, 임영웅에 꽃다발을?
유아인, 삭발 모습 공개… "근육질 몸매"
"술 한병 깔까요?"… 최성봉 측근 발언 '충격'
"이 핏 아니었는데…" 이하늬가 몸매 고민을?

박찬규 기자 star@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