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경제인이자 문화인으로서 이건희를 말하다
김상운 기자 2021. 10. 23.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통문화의 우수성만 되뇐다고 우리 문화의 정체성이 확립되는 건 아니다. 보통 사람들이 하루하루 살아가는 일상이 정말 '한국적'이라고 느낄 수 있을 때 문화 경쟁력이 생긴다." 올 7월 국립중앙박물관의 '고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에 소개된 고인의 어록은 문화재 담당기자인 내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중 문화인으로서 고인을 조명한 마지막 챕터에서 리움미술관 부관장을 지낸 김재열 전 한국전통문화대 총장이 전하는 고인의 말("문화는 경제적 백업이 없으면 허사다. 한국 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삼성을 최대한 이용하라")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사상가 이건희/허문명 지음/400쪽·2만4000원·동아일보사
“전통문화의 우수성만 되뇐다고 우리 문화의 정체성이 확립되는 건 아니다. 보통 사람들이 하루하루 살아가는 일상이 정말 ‘한국적’이라고 느낄 수 있을 때 문화 경쟁력이 생긴다.”
올 7월 국립중앙박물관의 ‘고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에 소개된 고인의 어록은 문화재 담당기자인 내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문화재 보호라는 명목하에 궁궐 전각을 꽁꽁 걸어 잠그는 국내 문화재 정책을 볼 때마다 일상에서의 문화 향유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막연히 해왔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며 컬렉터이자 문화인으로서 이 회장의 식견에 놀랐다.
베테랑 현직 언론인인 저자는 고인의 중고교 동창은 물론이고 삼성 전직 임원들, 학계 및 문화계 인사 등을 폭넓게 취재해 인간 이건희의 다양한 측면을 입체적으로 포착했다. 1993년 신경영 선언 이후 대대적인 경영 혁신뿐 아니라 그의 유년, 학창 시절부터 이건희 컬렉션의 탄생 과정까지 아우른다.
이 중 문화인으로서 고인을 조명한 마지막 챕터에서 리움미술관 부관장을 지낸 김재열 전 한국전통문화대 총장이 전하는 고인의 말(“문화는 경제적 백업이 없으면 허사다. 한국 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삼성을 최대한 이용하라”)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가 수준급의 고미술품 지식을 갖추고 열정적으로 이를 수집한 건 단순히 개인의 심미안을 충족시키려는 차원은 아니었다. 이는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전무후무한 그의 컬렉션이 국립 및 지방 미술관의 전시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문화계 평가로도 이미 증명됐다.
신경영 선언 전후 강력한 개혁 드라이브 과정을 당시 삼성맨들을 통해 생생히 재구성한 것도 이 책의 매력 포인트다. 예컨대 어린 시절 일본에서 자라며 극일(克日) 정신이 충만했던 이 회장은 일본인 기술고문들과 밤샘 토론을 벌이며 개선점을 집요하게 찾아냈다. 당시 이 회장과 장시간 대화한 기보 마사오 전 삼성전자 고문은 고인을 “역시 집념, 집념의 사나이”라고 회고한다.
이 회장은 1993년 6월 “마누라와 자식 빼곤 다 바꾸라”고 한 독일 프랑크푸르트 선언 직후 사장보다 급여가 더 높은 인재를 영입하라는 특명을 계열사 사장단에 내린다. 이렇게 모인 이른바 S급 인재들은 삼성의 기술혁신을 이끌게 된다. 시대를 앞서간 이 회장의 독특한 경영철학은 저자가 고인을 경제 ‘대가’가 아닌 경제 ‘사상가’라고 칭한 이유를 짐작하게 한다.
올 7월 국립중앙박물관의 ‘고 이건희 회장 기증 명품전’에 소개된 고인의 어록은 문화재 담당기자인 내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문화재 보호라는 명목하에 궁궐 전각을 꽁꽁 걸어 잠그는 국내 문화재 정책을 볼 때마다 일상에서의 문화 향유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막연히 해왔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며 컬렉터이자 문화인으로서 이 회장의 식견에 놀랐다.
베테랑 현직 언론인인 저자는 고인의 중고교 동창은 물론이고 삼성 전직 임원들, 학계 및 문화계 인사 등을 폭넓게 취재해 인간 이건희의 다양한 측면을 입체적으로 포착했다. 1993년 신경영 선언 이후 대대적인 경영 혁신뿐 아니라 그의 유년, 학창 시절부터 이건희 컬렉션의 탄생 과정까지 아우른다.
이 중 문화인으로서 고인을 조명한 마지막 챕터에서 리움미술관 부관장을 지낸 김재열 전 한국전통문화대 총장이 전하는 고인의 말(“문화는 경제적 백업이 없으면 허사다. 한국 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 삼성을 최대한 이용하라”)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가 수준급의 고미술품 지식을 갖추고 열정적으로 이를 수집한 건 단순히 개인의 심미안을 충족시키려는 차원은 아니었다. 이는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전무후무한 그의 컬렉션이 국립 및 지방 미술관의 전시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문화계 평가로도 이미 증명됐다.
신경영 선언 전후 강력한 개혁 드라이브 과정을 당시 삼성맨들을 통해 생생히 재구성한 것도 이 책의 매력 포인트다. 예컨대 어린 시절 일본에서 자라며 극일(克日) 정신이 충만했던 이 회장은 일본인 기술고문들과 밤샘 토론을 벌이며 개선점을 집요하게 찾아냈다. 당시 이 회장과 장시간 대화한 기보 마사오 전 삼성전자 고문은 고인을 “역시 집념, 집념의 사나이”라고 회고한다.
이 회장은 1993년 6월 “마누라와 자식 빼곤 다 바꾸라”고 한 독일 프랑크푸르트 선언 직후 사장보다 급여가 더 높은 인재를 영입하라는 특명을 계열사 사장단에 내린다. 이렇게 모인 이른바 S급 인재들은 삼성의 기술혁신을 이끌게 된다. 시대를 앞서간 이 회장의 독특한 경영철학은 저자가 고인을 경제 ‘대가’가 아닌 경제 ‘사상가’라고 칭한 이유를 짐작하게 한다.
김상운 기자 sukim@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전두환 비석’ 밟고 선 이재명 “윤석열은 못 밟았겠다”
- 이준석, 與 윤석열 비판에 “감성 너무 올드…개돼지가 왜 나오냐”
- 檢·공수처 지금 제대로 안 하면 未久에 엄한 단죄 못 피할 것
- [단독]日, 상부 보고하느라 ‘독도 사고 어선’ 골든타임 놓쳤다
- 윤석열 “부패 만연땐 경제전문가 무의미”…유승민 “국가전략 있어야 경제 살려”
- 尹,‘전두환 사과’ 하루만에 ‘개 사과’ 파문…“내가 승인” 또 사과
- 이재명 시장 때 ‘로비와 특혜’ 전모 규명이 대장동 수사 핵심
- 이재명-이낙연, 이르면 주말 만날까…“선대위 더는 미루기 어려워” 공감대
- 유동규측 “700억 약정은 농담”→“얼마라도 챙기려 맞장구” 입장 바꿔
- “李, 소시오패스의 전형” 원희룡 부인에…與 “의사 명예 먹칠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