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송충현]물가 상승 1%대 희망고문.. 넉 달 만에 3% 시인한 정부
송충현 경제부 기자 2021. 10. 23.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6월에 소비자물가가 하반기(7∼12월)부터 안정 목표치인 2% 안쪽으로 떨어질 것으로 진단했다.
2%대 중반을 넘은 물가 상승세는 일시적이며 농축수산물과 원자재 수급 여건이 개선되는 하반기에는 1%대로 떨어지고 연간 2% 선에서 안정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었다.
정부의 '기대'와 달리 물가가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10년 만에 3%대 물가상승률을 보게 될 것이라고 미리 '예방주사'를 놓기 시작한 것이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6월에 소비자물가가 하반기(7∼12월)부터 안정 목표치인 2% 안쪽으로 떨어질 것으로 진단했다. 2%대 중반을 넘은 물가 상승세는 일시적이며 농축수산물과 원자재 수급 여건이 개선되는 하반기에는 1%대로 떨어지고 연간 2% 선에서 안정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었다.
넉 달이 지난 지금 기재부에선 누구도 ‘1%대 물가’ 얘길 꺼내지 않는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6일 국정감사에서 “올해 물가상승률을 2% 선으로 잡을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더니 20일엔 “10월에 일시적으로 3%를 넘을 수 있겠지만 연간으로는 2%를 조금 넘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또 물러섰다. 정부의 ‘기대’와 달리 물가가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10년 만에 3%대 물가상승률을 보게 될 것이라고 미리 ‘예방주사’를 놓기 시작한 것이다.
정부가 국제유가 상승, 글로벌 공급망 교란 등 정치경제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대외 인플레 요인들을 통제하고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날씨에 의한 작황 부진도 예측하기 어렵다. 그렇더라도 “잘될 거야”라는 낙관적인 시나리오에 너무 무게를 두면 최악의 시나리오인 ‘검은 백조’가 나타날 가능성을 보지 못할 수 있다.
상반기(1∼6월)에도 고(高)물가 흐름이 꺾이기 어려울 것이란 시그널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었다. 농축수산물 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2.6% 뛰며 상반기 기준으로 1991년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았다. 국제유가도 연초 대비 30∼40% 뛴 70달러 선에서 좀처럼 내려오지 않았다. 4월부터 2%대 물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었지만 정부는 6월 말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8%로 예측했다. 기대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지 3%대 물가상승률이 나타날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경고 메시지는 보이지 않았다.
지나친 낙관과 부정확한 예측은 ‘뒷북 대응’으로 이어진다. 정부는 2018년 9월 국제유가가 80달러를 넘나들자 유류세 인하 카드를 꺼냈다. 10월 말 유류세 인하 방침을 발표하고 11월 6일 유류세를 내렸다. 하지만 그 직후 두바이유는 배럴당 60달러,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50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 결국 유류세 인하로 세수만 축냈다는 비판을 받았다.
현 정부 들어 기재부 내부에서는 “경제는 심리다. 가능한 한 희망적인 메시지를 줘야 한다”는 주장이 많이 들린다. 소비자물가, 일자리, 집값 등 경제지표와 관련한 장밋빛 전망도 많다. 경제는 심리이며 어려울 때일수록 희망을 얘기할 필요는 있지만 지나친 낙관은 정책의 실기로 이어지고 민생을 더 어렵게 한다. 정부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정책 효용이 떨어진다. 번번이 세수 예측에 실패하는 정부가 증세를 꺼내면 여론의 지지를 받을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기재부의 희망 섞인 전망은 국민들을 위로하지 못한다. 전문성과 소신을 바탕으로 경제에 대한 바른 진단과 처방을 내릴 때 정부에 대한 신뢰도, 경제에 대한 희망도 살아날 것이다.
넉 달이 지난 지금 기재부에선 누구도 ‘1%대 물가’ 얘길 꺼내지 않는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6일 국정감사에서 “올해 물가상승률을 2% 선으로 잡을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더니 20일엔 “10월에 일시적으로 3%를 넘을 수 있겠지만 연간으로는 2%를 조금 넘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또 물러섰다. 정부의 ‘기대’와 달리 물가가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10년 만에 3%대 물가상승률을 보게 될 것이라고 미리 ‘예방주사’를 놓기 시작한 것이다.
정부가 국제유가 상승, 글로벌 공급망 교란 등 정치경제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대외 인플레 요인들을 통제하고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날씨에 의한 작황 부진도 예측하기 어렵다. 그렇더라도 “잘될 거야”라는 낙관적인 시나리오에 너무 무게를 두면 최악의 시나리오인 ‘검은 백조’가 나타날 가능성을 보지 못할 수 있다.
상반기(1∼6월)에도 고(高)물가 흐름이 꺾이기 어려울 것이란 시그널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었다. 농축수산물 물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2.6% 뛰며 상반기 기준으로 1991년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았다. 국제유가도 연초 대비 30∼40% 뛴 70달러 선에서 좀처럼 내려오지 않았다. 4월부터 2%대 물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었지만 정부는 6월 말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8%로 예측했다. 기대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지 3%대 물가상승률이 나타날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경고 메시지는 보이지 않았다.
지나친 낙관과 부정확한 예측은 ‘뒷북 대응’으로 이어진다. 정부는 2018년 9월 국제유가가 80달러를 넘나들자 유류세 인하 카드를 꺼냈다. 10월 말 유류세 인하 방침을 발표하고 11월 6일 유류세를 내렸다. 하지만 그 직후 두바이유는 배럴당 60달러,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50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 결국 유류세 인하로 세수만 축냈다는 비판을 받았다.
현 정부 들어 기재부 내부에서는 “경제는 심리다. 가능한 한 희망적인 메시지를 줘야 한다”는 주장이 많이 들린다. 소비자물가, 일자리, 집값 등 경제지표와 관련한 장밋빛 전망도 많다. 경제는 심리이며 어려울 때일수록 희망을 얘기할 필요는 있지만 지나친 낙관은 정책의 실기로 이어지고 민생을 더 어렵게 한다. 정부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면 정책 효용이 떨어진다. 번번이 세수 예측에 실패하는 정부가 증세를 꺼내면 여론의 지지를 받을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기재부의 희망 섞인 전망은 국민들을 위로하지 못한다. 전문성과 소신을 바탕으로 경제에 대한 바른 진단과 처방을 내릴 때 정부에 대한 신뢰도, 경제에 대한 희망도 살아날 것이다.
송충현 경제부 기자 balgu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전두환 비석’ 밟고 선 이재명 “윤석열은 못 밟았겠다”
- 이준석, 與 윤석열 비판에 “감성 너무 올드…개돼지가 왜 나오냐”
- 檢·공수처 지금 제대로 안 하면 未久에 엄한 단죄 못 피할 것
- [단독]日, 상부 보고하느라 ‘독도 사고 어선’ 골든타임 놓쳤다
- 윤석열 “부패 만연땐 경제전문가 무의미”…유승민 “국가전략 있어야 경제 살려”
- 尹,‘전두환 사과’ 하루만에 ‘개 사과’ 파문…“내가 승인” 또 사과
- 이재명 시장 때 ‘로비와 특혜’ 전모 규명이 대장동 수사 핵심
- 이재명-이낙연, 이르면 주말 만날까…“선대위 더는 미루기 어려워” 공감대
- 유동규측 “700억 약정은 농담”→“얼마라도 챙기려 맞장구” 입장 바꿔
- “李, 소시오패스의 전형” 원희룡 부인에…與 “의사 명예 먹칠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