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부유'가 바꾼 中 투자 지도.."건설·교육株 피하고 친환경株 사라"

심성미 입력 2021. 10. 22. 17:18 수정 2021. 10. 23. 00: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헝다 사태 계기로 달라지는 中 투자 전략
'富의 재분배' 노린 정책 잇따라
부동산·플랫폼 등 전방위 규제
필수소비재·금융주 등 피해야
태양광·풍력·전기차·ESS 등
친환경 정책 수혜주로 갈아탈 때
IT제조·신소재 관련주도 관심

“당분간 중국에 신규 투자는 하지 않겠다.” 지난 8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한 발언이다. 중국 정부가 전방위 규제에 나서며 중국 투자를 꺼리는 분위기가 확산됐다.

최근 들어 중국 투자의 실마리가 보이고 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규제의 틀을 제공한 ‘공동부유’ 정책이 구체화된 게 투자지도를 명쾌하게 하고 있다. 가까스로 디폴트 위기를 모면한 헝다뿐만 아니라 플랫폼, 사교육, 의료에 대한 고강도 규제가 모두 시진핑 국가주석이 강조하는 공동부유 정책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피해야 할 분야는 명확해졌다. 부동산, 교육, 의료 등 가계 부담이 큰 분야다. 반면 친환경, 정보기술(IT), 인프라 등 정책 수혜에 올라타는 업종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주거·교육·의료株 탈출하라


중국 투자 시 가장 먼저 피해야 할 분야로 부동산이 꼽힌다. 중국 2위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가 휘청이게 된 배경에 ‘부의 재분배’를 강조하는 공동부유 정책이 있기 때문이다.

3연임을 앞둔 시 주석은 공동부유를 중국이 이뤄야 할 목표로 내세웠다. 7~8%대 고속 성장을 할 시기가 지났고, 중국 내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동산 시장 규제에 나섰다. 중국 주요 도시의 주택가격비율(PIR)은 24배로, 미국(4배) 유럽(11배) 일본(9배) 등을 훌쩍 넘어섰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부터 고강도 대출 규제에 나섰다. 헝다는 이 정책을 따르지 않았다. 올 6월 추가 대출이 금지됐다. 대출 문이 막히자 헝다는 달러 채권을 발행하기 시작했고, 이자조차 갚지 못하면서 파산 직전 상황에 내몰렸다. 김경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헝다 사태는 ‘공동부유발 헝다 리스크’”라며 “‘차이나 레버리지 성장’의 표본이었던 헝다의 디폴트 위기는 부동산 개발로 중국 경기를 부양하던 시대가 끝났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유동성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헝다 주가는 1년 전 대비 약 82% 하락했다. 글로벌 금융 시장의 뇌관으로 전락했다. 헝다 외에도 그린랜드, 컨트리가든, 시즌홀딩스 등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이 70%를 넘어선 부동산 업체가 늘어나고 있다.

 “필수 소비재의 증시 비중 낮아질 것”

사교육, 의료 등도 피해야 할 업종으로 자주 거론된다. 필수소비재와 금융, 보험, 은행도 마찬가지다. 중국은 가계의 고정지출 비중이 큰 업종에 대해 단가나 수수료를 규제해 양극화를 완화할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지난 7월 발표된 사교육 금지 조치, 의료보험 개혁도 같은 맥락이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위원은 “서민의 비용 부담을 낮춰야 하기 때문에 이익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상당히 낮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플랫폼, 엔터 업종도 당분간 힘을 쓰지 못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김경환 연구원은 “제조업으로 흘러들어가야 할 시중 자금과 데이터를 플랫폼 업체가 흡수하는 걸 중국 정부가 못마땅해한다”며 “세계에서 가장 먼저 강도 높은 플랫폼 규제를 시행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친환경과 소부장에 기회 있다”

위험도 ‘공동부유’에, 기회도 ‘공동부유’에 있다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시 주석이 공동부유와 함께 40년 만의 가장 큰 변화로 내세우고 있는 건 친환경 패러다임이다. 중국은 대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2016년 이후 석탄 생산능력을 약 6억t 감소시켰다. 코로나19 이후 예기치 못했던 수요 폭발로 전력난을 야기한 직접적인 이유였다.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관련 주가도 같이 수직 상승했지만 증권가에선 친환경 관련 종목으로 갈아탈 때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은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 정점을 찍은 뒤 206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김 연구원은 “정부 정책에 의해 산업 전체가 흔들리는 만큼 태양광·풍력의 에너지저장장치(ESS)나 전기차 관련 밸류체인에서 기회가 있다”고 분석했다.

IT 업종도 눈여겨보라는 조언이다. 특히 정부가 공급망 수직 계열화를 위해 제조업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만큼 ‘커창반지수’에 편입된 기업을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차세대 IT, 첨단장비, 신소재, 전기차, 친환경, 헬스케어 종목 등으로 구성됐다. 개별 기업 투자가 쉽지 않다면 상장 1년 이상 된 종목 중 시가총액이 큰 기업 위주로 구성된 ‘커창반50 상장지수펀드(ETF)’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양극화 해소 이후 중국 정부의 최종 목표는 ‘내수 국가’로의 변신이다. 가계 고정지출을 국가가 부담하겠다고 나선 이유기도 하다. 미·중 분쟁이 장기화되면서 해외 의존도를 낮춘다는 계획이다. 전종규 연구원은 “중서부 10억 인구의 가처분소득을 늘려 소비를 키우려는 전략”이라며 “여행 등 여유 소비재에 관심을 둬도 좋다”고 조언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