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앱 사용 늘리겠다"..생활밀착 서비스 속도내는 은행들

황병서 2021. 10. 22. 15: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달·택배·부동산 등 서비스 출시
디지털 최적화 MZ세대 붙잡는 전략

[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 직장인 A씨는 모 가수의 사인 CD를 팔기 위해 한 은행의 애플리케이션(앱)으로 택배 서비스를 이용했다. 이 앱은 편의점에 가기 전 택배 계산 등을 미리 끝마칠 수 있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편의점에 도착해서는 택배 기계에서 예약번호를 입력하고 송장출력 후 접수만 하면 된다. A씨는 “편의점에 도착해서 해야 할 절차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해 종종 이용한다”고 말했다.

주요 은행들이 금융 앱을 활성화하기 위해 일상 영역으로 파고들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시대 필요한 배달과 택배와 같은 서비스에서부터 온 국민의 관심사로 떠오른 부동산 등의 서비스를 은행 앱 속에 넣어 선보이고 있다. 이는 빅테크·핀테크 기업들의 서비스가 디지털 환경과 맞물려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기존 은행들이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신한은행 배달 앱 서비스 이미지.(이미지=금융위원회)
“배달 앱부터 택배서비스까지”…일상 서비스 확대하는 은행들

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올해 12월 금융권 최초로 배달 앱 ‘땡겨요’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 앱의 브랜드 이름인 땡겨요는 당기다의 센말인 ‘땅기다’에서 빌려왔다. 경험을 나누고 혜택을 땡긴다는 의미이다. 고객이 또 다른 고객을, 소상공인 자영업자는 단골 고객을 끌어당긴다는 뜻을 담고 있다고 신한은행은 전했다.

이 앱은 기존의 배달앱들과 달리 가맹점 입점 수수료와 광고비용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공공 배달앱 수준의 저렴한 중개 수수료를 내걸며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신한은행의 이 서비스는 지난해 12월 16일 금융위원회로부터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았다. 신한은행 측은 “소상공인 고객에게는 거래비용 절감 및 특화 금융서비스 제공 등의 금융지원을 하고 일반고객에게는 음식 주문과 관련된 더 많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8월 은행 앱 안에 택배 서비스를 선보였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택배 서비스가 증가하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택배 서비스는 기사 방문 택배와 편의점 택배 예약, 결제 서비스뿐만 아니라 개인별 휴대폰 번호를 기반으로 택배 운송 상태 등도 조회할 수 있다. 기사 방문 택배는 CJ대한통운, 한진택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방문 희망일에 배송 기사가 집, 사무실 등 지정한 곳에 직접 방문해 물품을 수거해 간다.

하나은행은 부동산 맞춤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앱 안에는 ‘부동산 마켓플레이스’란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으며, 매물로 나온 집을 알려주거나 수수료 없는 직거래 집을 구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집을 매물로 내놓는 사람들을 위해서도 세금 계산하기, 부동산 자문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앞서가는 토스·카뱅 앱 이용자 수…은행들, 금융앱 활성화 ‘사활’

은행들이 이처럼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선보이는 것은 플랫폼 강자로 꼽히는 빅테크나 핀테크가 금융업에 진출하면서 앱 사용 점유율을 독식할 것이란 우려가 큰 데 따른 것이다.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예금, 적금과 같은 은행 서비스의 비대면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디지털환경에 익숙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고객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토스 앱의 사용자 수는 1596만9337명에 달했다. 이어 삼성페이 1530만7699명, 카카오뱅크 1332만7197명 등으로 뒤를 이었다. 은행권에선 KB국민은행 1073만12명, 신한 쏠 913만473명, NH스마트뱅킹 905만7052명, 우리은행 603만1952명, 하나원큐 447만2951명을 기록했다. 빅테크 앱들과의 경쟁에서 선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수치상 밀리는 모양새이다.

일간 기준으로 봐도 비슷하다. 이달 19일 일간 기준으로 금융 앱 순위를 보면 삼성페이가 514만명, 토스가 358만명, 카카오뱅크가 312만명, 업비트가 284만명의 이용자를 기록했다. 이어 KB국민은행 스타뱅킹이 244만명, 신한쏠은 234만명, NH스마트뱅킹이 196만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은행권 관계자는 “젊은 세대일수록 모바일 환경에서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게 늘 수밖에 없다”면서 “이들이 장차 기성세대로 자리 잡는 것까지 고려한다면 현재부터 금융앱 사용의 저변을 넓혀가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밀레니얼 소비자를 중심으로 빅테크·핀테크 서비스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본다”면서 “은행들은 뛰어난 금융서비스 경쟁력을 갖춘 빅테크의 거센 도전을 막기 위해서라도 금융 외의 서비스 확장에도 적극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9월 기준 금융앱 분야 사용자 순위.(이미지=모바일인덱스 캡처)

황병서 (bshwa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