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시대, 다시 뛰는 대구·경북] 새로운 도약 위해..미래의 싹 틔운다

대구·안동=손성락 기자 2021. 10. 22. 10: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시 '5+1 신산업' 육성 팔걷고
경북도는 SMR·수소생산 선점 나서
신항공·취수원 다변화·행정통합 등
연대와 협력 통해 현안 공동 해결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비롯한 대구·경북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지난 7월 경북도청 앞마당에서 열린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조형물 제막식에서 테이프를 자르고 있다. /사진 제공=대구시
[서울경제]
SK바이오사이언스가 경북도 및 경북 안동시와 지난 6월 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공장 증설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경상북도
대구 지역기업 시가총액 1위인 엘앤에프가 지난해 11월 대구시와 대구국가산업단지에 2차전지용 양극재 생산공장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구시
한국원자력연구원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착공식이 열린 지난 7월 경북 경주시 감포읍 대본리 일원에서 참석자들이 공사 개시를 알리는 버튼을 누르고 있다. /사진 제공=경상북도
권영진(왼쪽 첫 번째) 대구시장과 이철우(오른쪽 첫 번째) 경북도지사가 한정애 환경부 장관과 지난 7월 구미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합동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제공=경상북도
경북도청 전경.
대구시청 전경.

대구와 경북이 방역과 일상이 조화를 이루는 ‘위드 코로나’ 시대를 맞아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본격적인 시동을 걸고 나섰다. 신산업 육성 등을 통해 코로나19로 침체됐던 지역경제를 되살리고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같은 글로벌 이슈에 적극 대응해 미래 성장동력를 조기에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우선 대구시는 성과를 내고 있는 이른바 ‘5+1 신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해 대구산업의 틀을 미래산업 중심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을 세웠다. 국내 최대 원자력발전 기반시설을 보유한 경상북도는 소형모듈원자로(SMR) 도입과 수소생산이 핵심인 ‘K-원자력’ 전략을 통해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한편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구상이다.

대구와 경북은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추진하면서 공동의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협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우선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은 대구·경북의 최대 현안이자 지역 발전에 더할 수 없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사업이다. 최근 경북 군위군을 대구로 편입하는 관할구역 변경안이 경북도의회의 검토 결과 찬성으로 결론나면서 신공항 이전은 본격적인 급물살을 타게 됐다.

앞서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은 정부의 제6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서 부산 가덕신공항과 같은 거점공항으로 고시됨에 따라 지역 관문공항으로서의 역할과 지위를 인정받게 됐다. 기존 대구국제공항의 걸림돌이었던 ‘단거리 국제노선’ 문구도 삭제돼 미주·유럽 등 중장거리 국제노선의 운항이 가능한 시설과 규모를 갖출 수 있는 근거도 마련됐다.

대구·경북은 신공항의 규모와 관련해 연간 1,000만명 이상 수용 가능한 여객터미널, 연간 26만톤 이상 처리 가능한 화물터미널, 중대형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이 가능한 3,200m 이상의 활주로 등을 요구하고 있다. 신공항 건설에만 10조 원가량이 투입되고 기존 K-2 군공항이 이전한 부지의 개발까지 포함하면 20조 원 이상이 소요되는 초대형 국책사업이다.

대구는 K-2 군공항이 이전하고 남는 후적지를 포함한 금호강 유역을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거대한 정원으로 가꾸는 등 친환경 수변도시로 탈바꿈시키는 원대한 구상을 갖고 있다. 경북은 신공항이 들어서는 군위군과 의성군에 신도시와 항공클러스터를 조성해 항공전자·부품·서비스 등 항공 신산업을 육성하고, 공항의 물류기능을 대폭 향상시켜 지역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은 대구·경북의 미래 성장동력이자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사업”이라며 “신공항이 명실상부한 지역의 관문이자 대구·경북을 넘어 중부내륙권을 아우르는 경제·물류공항으로 건설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와 경북은 지역사회의 오랜 현안이었던 대구 취수원 문제를 놓고도 머리를 맞대고 있다. 구미시의 전향적인 결단으로 큰틀에서는 합의를 봤지만 아직까지 해결해야 할 관문이 남아 있어서다. 현재 정부의 중재로 대구는 하루 필요 수량의 절반 정도인 30만톤 정도를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취수하는 방안을 일단 확정했다. 구미시도 구미에 피해가 없고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지역 간 상생을 위해 취수원 공동 활용을 받아들이겠다는 ‘조건부 수용’ 입장을 표명했다.

대구와 정부는 취수원을 공유하는 구미시의 발전을 위한 대구시 차원의 일시금 100억 원, 농산물직거래 장터 마련 등 농가소득 향상, 낙동강 수계기금을 통한 매년 100억 원, 구미시 숙원사업 해결 등의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구미시민 일부를 중심으로 취수원 다변화에 대한 반발 여론이 여전해 아직 최종 확정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 집중화에 대응해 대구와 경북이 지역 생존의 돌파구로 내건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중장기 과제로 추진된다. 앞서 양측의 원칙적 합의로 행정통합은 속도를 내는 듯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주민 공론화 과정이 차질을 빚으면서 시기를 조절하기로 했다. 대구와 경북은 행정통합이 대선 공약사항으로 채택돼 국가 과제로 추진될 수 있도록 역량을 모을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수도권이 블랙홀처럼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현체제로는 지방은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한계가 있다”며 “광역단체끼리 합쳐서 규모를 키워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에 행정통합은 대구와 경북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달성해야 할 숙제”라고 말했다.

대구·안동=손성락 기자 ssr@sedaily.com 구미=이현종 기자 undefined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