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항공전자 국제 표준 'FACE 인증' 국내 첫 획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국내 기업 최초로 국제 기술 표준을 제정하는 컨소시엄인 오픈 그룹(The Open Group)의 항공전자 기술 표준 'FACE (Future Airborne Capability Environment)' 적합성 인증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항공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해 국내 최초로 FACE 기술 표준 적합성 인증을 통과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국내 기업 최초로 국제 기술 표준을 제정하는 컨소시엄인 오픈 그룹(The Open Group)의 항공전자 기술 표준 ‘FACE (Future Airborne Capability Environment)’ 적합성 인증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항공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해 국내 최초로 FACE 기술 표준 적합성 인증을 통과했다.
아시아에서는 대만 에이디링크(ADLINK Technology)에 이어 두 번째다. 전 세계적으로 △레이시온(Raytheon) △허니웰(Honeywell) △콜린스 에어로스페이스(Collins Aerospace) 등 현재 총 13개 업체가 FACE 기술 표준 적합성 인증된 제품을 등록한 상태며, 에이디링크를 제외한 12개 업체는 미국의 항공 방산 전문업체다.
FACE 적합성 인증(Conformance Certification)은 항공전자 소프트웨어의 기능성·휴대성·안전성·신뢰성·상호운용성·이식성 등에 대한 품질 인증이다. 미 정부·미군과 록히드마틴·보잉 등 글로벌 항공 및 방산 기업으로 구성된 오픈 그룹의 FACE 컨소시엄이 군용 항공 플랫폼에 대한 개방형 기술 표준을 제정하고, FACE 컨소시엄에서 지정한 검증 기관이 독립적으로 기술 검증과 평가를 수행한다.
한화시스템 양태호 항공·우주연구소장은 “이번 인증 획득은 한화시스템의 항공전자 분야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입증하는 좋은 사례”라며 “한화시스템이 자체 개발한 항공전자 입출력 서비스 소프트웨어는 한화시스템의 항전 장비에 탑재돼 핵심 항공 소프트웨어의 해외 제품 대체는 물론, 국내 항전 장비의 성능 향상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출처:한화시스템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
Copyright (c) 코리아뉴스와이어,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 KG 모빌리티, 중형 전기 SUV ‘토레스 EVX’ 사전계약 실시
- LG생활건강, 협력사에 납품대금 ‘제값’ 준다… 공정거래 앞장
- KB금융, 2500억원 규모의 펀드 운용을 통해 차세대 유니콘 기업 성장 지원에 앞장서
- KPR, 2023년 1분기 해외여행 언급량 25% 증가한 32만건… 해외여행 회복세 뚜렷
- SKT, A.tv에서 2023 프로야구 무료 생중계
- 오뚜기, 매콤짭짤한 1인용 ‘우노 페퍼로니피자’ 출시
- STX엔진, 제9대 이상수 대표이사 선임
- 한국민속촌, 밤의 전통문화를 만나다 야간개장 시작
- 아티초크 출판, 라틴아메리카 첫 노벨문학상 작가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시집’ 출간
- 현대미포조선, 중형 PC선 4척 2401억원 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