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갤러리] "모과열매에서 천의 얼굴 봤다"..김호준 '푸른 모과나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모과나무다.
무게감 있는 마티에르에 그보다 묵직한 색을 입혀, 빛나는 모과나무 한 그루를 심어낸 이는 작가 김호준이다.
어느 날 밤 문득 맞닥뜨린 "푸른색 모과나무"가 가슴을 쳤다는 거다.
"어두운 밤에 외로이 선 푸른 모과나무에 매달린 노란 열매가 천태만상 세상사 같다"고 생각했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연 모티프, 세밀 묘사보단 감각적 느낌
무거운 마티에르에 얹어낸 더 묵직한 '색'
칠하는 색 아니라 그 자체를 그려내는 듯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모과나무다. 대롱대롱 매달린 열매에선 누르는 만큼 ‘노랑’이 삐져나올 듯하다. 사실 여기까진 특이할 게 없다. 도드라진 것은 그 열매들을 지탱하고 선 나무. 나무기둥과 뻗쳐나온 가지들이 ‘푸름’을 머금고 있으니까. 흔히 나무색이라 말하는 흑갈색은 이 화면에선 없다.
무게감 있는 마티에르에 그보다 묵직한 색을 입혀, 빛나는 모과나무 한 그루를 심어낸 이는 작가 김호준이다. 작가는 ‘색을 그린다’. 색을 칠하는 게 아니고 그 자체를 그리는 거다. 그 바탕에는 ‘생동하는 자연’이 있다. 자연의 세밀한 묘사보단 감각적 느낌을 옮겨놓는데. 그 느낌은 보통 색으로 등장한다. 바다에는 산색이 들어차고 산에는 바다색이 솟아오르는 거다.
‘푸른 모과나무’(Blue Quince Tree·2021) 역시 그렇게 나왔다. 어느 날 밤 문득 맞닥뜨린 “푸른색 모과나무”가 가슴을 쳤다는 거다. “노란 열매와 어울리는 나무색을 생각하다 바다의 파란색을 떠올렸다”고 했다. 또 본 게 있다. “사람의 얼굴을 닮은 모과의 형체들”이다. “어두운 밤에 외로이 선 푸른 모과나무에 매달린 노란 열매가 천태만상 세상사 같다”고 생각했단다.
27일까지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3길 아트스페이스퀄리아서 여는 ‘김호준 초대전’에서 볼 수 있다. 캔버스에 오일. 163×130㎝. 작가 소장. 아트스페이스퀄리아 제공.
오현주 (euanoh@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檢, 대장동 의혹 핵심 유동규 구속기소…703억 원 '뇌물'
- "업계서 죽인다고" 김선호 폭로 예고 A씨.. 소속사 "사실무근"
- "국민장인 치트키" 유승민 라방에 등장한 딸 유담
- 우주의 門 연 독자기술 '누리호', 남은 과제는?
- "이상한 투머치토커"…신평 언급한 '尹 실언' 뭐길래
- “집이 안팔려요”…평촌, 전국서 매물증가율 1위 왜?
- 유은혜 "국민대, 김건희 논문 검증 여부 보고 원칙대로 조치할 것"(종합)
- 北반발에…외교안보 수장 "피해없으니 도발 아니다"(종합)
- (영상)'폭탄 터진줄'…중국 선양 식당서 가스폭발 참사
- 안민석 "비서가 남욱 처남이었다니...이게 무슨 신의 장난인가"